개발중인 자율주행차의 모습. /자료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비해 자율주행 전용 차로를 만들고 교통량에 따라 자동으로 신호 주기를 조절하는 등 첨단 도로환경을 만들기 위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도로 분야 핵심정책 연구용역 과제들을 발주한다고 12일 밝혔다.

국토부는 정보통신·센서 등 첨단기술이 융합된 자율주행차 시대가 급속도로 다가오는 가운데, 모든차가 자율주행기능을 갖추기 전까지 자율주행차와 일반차가 함께 도로를 이용하는 과도기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오는 5월까지 도로분야 핵심 정책 연구용역을 발주키로 했다.


국토부는 첨단 기반 시설인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를 활용해 자율주행 차량의 위치, 상태 등의 정보를 일반차량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리고 최적화된 자율주행 운행이 가능하도록 전용차로 도입 등 기술적인 지원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지난 2월 신산업 규제혁신 과제로 발표됐던 도로 공간의 입체적 활용방안의 후속조치를 위한 종합연구도 병행한다. 국가가 도심 내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 투자가 어려운 여건임을 감안해 우선 신호체계 개선 등 단기간ㆍ소규모 투자로도 혼잡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또 저출산ㆍ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로 국민의 이동편의 제고, 보행자 안전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한 정책사업 연구도 함께 진행한다.


국토교통부 전형필 도로정책과장은 “국민이 일상에서 느끼는 불편함을 찾아 개선하고 안전한 도로환경을 만드는 것은 물론, 도로정책 전반에 대한 혁신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기에 도로의 역할을 새로이 정립해 나가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며 “정책 연구과제 입찰 과정에서 다양한 식견과 경험을 두루 갖춘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내실있게 정책을 수립ㆍ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