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한국노총. 사진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사진=임한별 기자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오늘(19일) 각 산업별 노동자 대표들과 회동해 "우선 박근혜정부 하에 추진된 실패한 정책들을 바로잡겠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이날 서울 영등포구 한국노동조합총연맹에서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과 한국노총 소속 산별 대표들과 만나 "역대 대통령들이 노사 대화를 말했지만 모두 말뿐이었다"며 "나는 충분히 생각하고 토론해서 반드시 지킬 수 있고 실질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공약을 제시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양적 목표 중심 일자리 정책보다 일자리 질을 개선하고 공공성을 높이겠다"며 "사업장에서 노동법이 제대로 지켜지도록 근로 감독을 강화하고 모든 분야에서 노동 인권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공언했다.


이어 국민의당과 자신이 노동 문제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을 스스로 언급하며 "결코 그렇지 않다"며 "5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이 고용률 70% 달성을 제1공약으로 내걸며 일자리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고자 했지만 그 결과는 참담했다. 비정규직과 시간제 일자리만 늘었다. 5년을 그렇게 또 보낼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안 후보는 노동계가 대표적으로 요구하는 최저임금 즉각 현실화에 대해 다소 유보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당 선대위 측은 최저임금을 오는 2020년까지 1만원으로 끌어올리는 '실현 가능한 스케줄'을 제시하겠다고 약속했다.

김동명 화학노련위원장은 이에 "노동 공약을 노동 전문가와만 상의하지 말고 노동자의 말도 들어달라"며 "최저임금 인상은 가능한가 가능하지 않는가가 아니라 반드시 해야 하는 문제"라고 호소했다.


문현군 비정규직 담당 부위원장도 "최저임금 정률은 고소득 노동자에게만 적용된다"며 "연 인상률 16%를 계산기로 두들겨 보면 매우 적은 금액이니 과도하다 생각하지 말아달라"고 요구했다.

안 후보는 "기존 법을 제대로 잘 지키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전문가만 탁상에서 정책 만드는 것이 아니라 현장 목소리도 담고 있다"며 "최저임금도 안 지켜지는 것이 문제다. 300만명 정도가 최저임금이 정해져 있는데 그 이하로 받는다. 그 부분은 꼭 법을 지키게 하겠다는 의지"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