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시바 반도체사업 인수전을 놓고 글로벌 공룡기업들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글로벌 반도체시장에 지각변동을 야기할 매물인 만큼 참전한 기업들의 수싸움이 치열한 상황이다.

19일 재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도시바 메모리 반도체사업부를 인수하기 위해 미국계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베인캐피털과 컨소시엄을 구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도시바 해외 매각에 부정적인 일본 내 여론 등을 감안해 일본계 재무적투자자(FI)도 끌어들일 방침이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이번 인수전에 참전한 다른 글로벌기업들도 연합군을 형성하며 본입찰을 대비하고 있다. 미국 PEF 실버레이크와 반도체기업 브로드컴이 연합했고, 일본 민관펀드인 일본산업혁신기구와 일본개발은행도 이 연합대열에 합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브로드컴과 실버레이크파트너스는 일본은행인 미즈호파이낸셜그룹, 스미토모미쓰이파이낸셜그룹,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으로부터 이번 인수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받기로 했다.


대만 홍하이그룹은 막대한 자본력을 앞세운 다크호스다. 20조원대로 알려진 인수비용보다 10조원가량 더 많은 3조엔(약 31조4430억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액수를 베팅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하이그룹은 지난해 인수한 일본 샤프를 이번 인수전에 참여시키는 방안과 일본 소프트뱅크, 미국 애플과 제휴하는 방안 등 다양한 컨소시엄 전략을 고려 중이다. 자금이 필요한 도시바 입장에선 타 기업과 액수 차이가 큰 홍하이그룹의 제안을 거부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의 기본 축 역할을 하는 부품인 반도체 기술의 유출과 안보 위협 우려 등을 이유로 미국기업의 인수를 희망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도시바와 함께 일본 욧카이치에서 메모리반도체 공장을 공동 운영하는 미국의 웨스턴디지털이 양사간 합작계약을 근거로 ‘독점 교섭권’을 주장하며 결과를 예단하기 힘든 혼돈 양상이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