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이 인도의 대형물류업체 다슬을 인수했다 /사진=CJ대한통운 제공
CJ대한통운이 ‘글로벌 탑 5 물류기업’에 한걸음 더 다가서게 됐다. 인도시장 수송분야 1위 기업을 인수한 것.
CJ대한통운은 인도 다슬 로지스틱스(Darcl Logistics)의 지분 50%를 인수해 1대 주주에 올랐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1986년 설립된 다슬은 육상·철도·해상·중량물운송을 아우르는 종합물류기업이다. 지난해 매출액은 약 3200억원의 이 회사는 철강, 화학, 산업재, 소비재 등 다양한 산업군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임직원 수는 총 3400여명이다.
특히 인도 수송분야 1위, 종합물류 3위 기업으로 우리나라 면적 33배에 이르는 광대한 인도대륙을 4개 권역으로 나눠 델리, 뭄바이, 첸나이, 콜카타의 4개 주요 거점을 포함 총 210개의 거점을 뒀다. 또한 최대 1만5000여대의 차와 장비를 운영, 인도 전역에 걸친 물류 사업을 전개 중이다.
또한 인도대륙 동서를 횡단하는 컨테이너와 소비재 철도운송, 트럭-철도 병행수송 서비스, 인근 국가인 네팔, 방글라데시 국경 간 운송과 해상운송도 운영 중이다.
다슬의 물류 네트워크 커버리지 /사진=CJ대한통운 제공
◆왜 인도인가
인도는 인구 13억의 세계 2위 인구대국이자 국내총생산(GDP)이 2.25조 달러 규모로 거대한 내수시장과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높은 경제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물류시장은 제조업 활성화에 따라 연평균 15%의 성장세를 보이지만 대부분의 물류업체들이 영세한 규모로 운영된다. 인도 전역 네트워크를 갖춘 종합물류기업이 드물고 지역별, 단위별 전문기업이 대다수인 상황이다.
특히 인도 정부가 최근 29개 주(州)별, 상품별로 다른 부가가치세를 단일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단일부가세제도(GST; Goods and Service Tax) 도입을 추진하면서 인도 전역 수송망을 갖춘 다슬이 이 제도의 큰 수혜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는 주별로 세율과 세목이 각기 달라 운송 차량이 주 경계를 넘어갈 때마다 통관절차를 거쳐야 했다. 앞으로 세재개편이 마무리되면 소요시간과 비용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또 상이한 세제 때문에 주단위로 운영되던 물류사업 범위도 전국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돼 다슬과 같은 대형 물류기업에게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진출 국내기업에 도움
CJ대한통운은 다슬을 인수하며 성장성 높은 인도 물류시장 개척의 교두보를 마련했으며, 중국-동남아시아에 이은 범 아시아 일괄물류 체계를 구축하게 됐다. 이를 통해 글로벌 다국적 제조기업(MNC)에 대한 아시아 전역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다는 평.
특히 CJ대한통운은 인도 최대 수송네트워크를 갖춘 다슬의 수송사업 역량과 CJ대한통운의 TES에 기반한 첨단 W&D(물류센터 운영)역량을 더해 시너지를 기대한다. 아울러 LTL(소화물 혼적운송), 화물정보망사업 등 신사업도 추진함으로써 다슬을 단기간 내 인도 1위 종합물류기업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다슬의 현지 물류 인프라를 활용해 인도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들에게 SCM(공급망 사슬 관리)역량을 강화, 우리 기업의 성장과 글로벌화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박근태 CJ대한통운 사장은 “인도 전역에 걸친 네트워크를 갖춘 다슬 인수로 아시아 물류네트워크를 더욱 촘촘히 할 수 있게 됐다”면서 “성장성 높은 인도 물류시장 진입의 교두보를 확보함으로써 글로벌 탑 5 물류기업 도약에 한걸음 더 다가서는 계기가 됐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다슬을 인도 1위 종합물류기업으로 성장시켜 인도 물류산업은 물론, 우리나라 경제 발전에도 이바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