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일 6·10민주항쟁 30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우리 사회가 함께 경제민주주의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세워야 한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 재계가 대체적으로 ‘공감’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문 대통령은 기념식에서 “6월 항쟁으로 성취한 민주주의가 모든 국민의 삶에 뿌리내리도록 해야 한다”며 “이제 우리의 새로운 도전은 경제에서의 민주주의로 정부의 의지만으로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소득과 부의 극심한 불평등이 우리의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다”며 “일자리 위기가 근본 원인이다. 극심한 경제적 불평등 속에서 민주주의는 형식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일자리는 경제의 문제일뿐 아니라 민주주의의 문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노동자, 시민사회 모두가 힘을 모아 경제민주주의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세워야 한다”고 노사정이 함께 경제민주주의라는 새 도전에 나서자고 촉구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일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6·10민주항쟁 30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에 경제단체 관계자는 “일자리 문제가 우리 사회의 최우선 과제라는 대통령의 인식에 공감한다”며 “노사정이 대화와 타협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재계 한 관계자는 “일자리 창출이 기업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는데 이견이 있는 기업은 없을 것”이라며 “노사정 대타협이 중요하다는 대통령의 발언에 공감하며 실제로 정부가 사회 대타협과 대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