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가 피프로닐, 베펜트린, 에톡사졸 등이 검출된 '살충제 계란'이 건강에 위해를 미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21일 충북 오송 식약처 브리핑실에서 '살충제 검출 계란 관련 추적조사 및 위해평가 결과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식약처는 "독성이 가장 높은 피프로닐이 최대로 검출(0.0763ppm)된 계란을 매일 2.6개 섭취했다 해도 건강에 위해를 미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국민 계란 섭취량은 하루 평균 0.46개(27.5g)이며, 연령대별 극단섭취량(가장 많이 섭취)은 1~2세는 2.1개(123.4g), 3~6세는 2.2개(130.3g), 20~64세는 3개(181.8g)다. 살충제 검출량은 피프로닐 0.0036~0.0763ppm, 비펜트린 0.015~0.272ppm, 에톡사졸 0.01ppm, 플루페녹수론 0.0077~0.028ppm, 피리다벤 0.009ppm이다.


이같은 수치에 따르면, 계란 극단섭취자가 피프로닐이 최대로 검출(0.0763ppm)된 계란을 섭취했다고 가정해도 위험 한계값(급성독성참고량)의 2.39%~8.54% 수준이므로, 건강에 위해를 미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 식약처 설명이다.

비펜트린의 경우도 극단섭취자와 최대 검출량(0.272ppm)을 가정해 평가하면 위험 한계값의 7.66%~27.41% 수준이며, 하루 동안 최대로 오염된 계란을 1~2세는 7개, 3~6세는 11개, 성인은 39개까지 먹어도 위해하지 않다는 평가다.

피리다벤도 극단섭취자와 최대검출량(0.009ppm) 조건을 가정하면 위험 한계값의 0.05%~0.18% 수준으로, 하루 동안 계란을 1~2세는 1134개, 3~6세는 1766개, 성인은 5975개까지 먹어도 위해하지 않다.


에톡사졸은 평생동안 0.01ppm 검출된 계란을 매일 4000개까지 먹어도 위해하지 않으며, 플루페녹수론은 0.028ppm 검출된 계란을 1321개까지 매일 먹어도 건강에 위해를 미칠 가능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식약처는 추가로 검출된 3개 성분(DDT, 클로르페나피르, 테트라코나졸)에 대한 위해평가도 실시해 곧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