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울산CLX 전경. /사진=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인 SK에너지가 지난달 31일 이사회를 열고 2020년까지 SK 울산Complex에 약 1조원을 투자해 일 생산량 4만배럴 규모의 감압 잔사유 탈황설비(VRDS)를 신설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말 국제해사기구(IMO)가 2020년 1월부터 전세계 선박 연료유 황 함량 규격을 기존 3.5%에서 0.5%로 대폭 강화하기로 한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제품은 황 함량이 낮을수록 친환경 제품으로 평가된다. 육상 운송용 경유의 경우 황 함량 0.001%의 강한 규제를 적용하지만 선박 연료유는 3.5% 황 함량 규제로 인해 대표적 대기환경 오염원으로 지적돼 왔다. 하지만 이번 결정으로 대규모 탈황설비를 신설하는 SK에너지는 글로벌 물량부족과 이로 인한 가격상승이 예상되는 저유황 선박 연료유시장 환경변화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아스팔트, 고유황 연료유로 쓰이는 저가의 감압 잔사유(감압증류공정 부산물)는 글로벌 환경 규제로 수요 및 가격 하락이 예상되고 있다. 이를 탈황설비를 통해 저유황 연료유, 디젤, 나프타 등의 고부가 제품으로 전환해 생산, 판매할 수 있어 수익구조가 다각화된다.
아울러 연계 공정인 윤활기유 공정 원료의 안정적 공급이 가능해져 수익성이 더욱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은 “딥체인지2.0의 강력한 실행을 위해 회사 주요 기반인 석유사업의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투자”라며 “설비 경쟁력 강화를 비롯해 글로벌 에너지 시장 환경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