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오전 인천 영흥도 해상에서 낚싯배가 전복된 사고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은 직접 국가위기관리센터를 찾아 해양경찰청·행정안전부·세종 상황실 등을 화상으로 연결해 상세보고를 받고 실종인원 구조 작전에 만전을 기할 것 등을 지시했다. /사진=청와대
“재난 컨트롤타워는 청와대”라고 강조하며 국민 보호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조해온 문재인 대통령이 인천 영흥도 낚싯배 전복 사고와 관련해 각종 보고를 받고 필요한 조치를 직접 진두지휘하고 있다.3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일요일인 3일 새벽 발생한 인천 영흥도 앞바다 낚싯배 전복 사고와 관련해 긴박한 움직임을 보였다.
인천해경에 사고 신고가 접수된 것은 이날 오전 6시9분. 문 대통령은 사고 신고 접수 52분만인 오전 7시1분 청와대 위기관리비서관에게 첫 보고를 받았다. 해경에서 보낸 구조정이 현장에 도착한 오전 6시42분을 기준으로 하면 19분 만에 1차 보고가 이뤄진 것.
문 대통령은 첫 보고를 받은 뒤 “해경 현장 지휘관의 지휘하에 해경, 해군, 현장에 도착한 어선이 합심해 구조작전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지시했다.
오전 9시6분쯤 이 같은 지시사항을 윤영찬 국민소통수석비서관을 통해 언론에 알린 문 대통령은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로 향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위기관리센터에 도착하기 전 두 차례 전화 보고와 한 차례 서면 보고를 올렸다.
문 대통령은 보고를 받을 때마다 필요한 조치를 직접 지시했고 오전 9시25분 위기관리센터에 도착했다. 이 자리에는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권영호 위기관리센터장 등 주요 참모진이 동석했다.
문 대통령은 위기관리센터에서 해경과 행정안전부, 세종 상황실 등을 화상으로 연결해 상세한 보고를 받고 오전 9시31분 추가 지시를 내렸다.
특히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에게는 “현재 총력을 다하고 있는데 그래도 정부가 추가로 지원할 게 있으면 현장에 가서 상황을 파악하고 건의하라”고 지시했다.
또 박경민 해경청장에게는 “실종자가 선내에 있을 가능성도 있지만 해상표류 가능성도 있으므로 항공기, 헬기 등을 총동원해 광역항공수색을 철저히 하라”며 “안전조끼를 입은 것으로 파악되므로 아직 생존 가능성이 있으니 마지막 한 명까지 생존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혼신의 노력을 다하라”고 강조했다.
앞서 이 낚싯배는 오전 6시 출항해 옹진군 영흥도 인근 해상에서 336톤 급유선과 충돌해 전복됐다. 사고 당시 낚싯배에는 선원 2명과 낚시객 20명이 타고 있었다. 승선 정원 22명을 지키는 등 현재까진 법 위반 사항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오후 3시 기준 탑승자 22명 중 사망자는 13명, 생존자는 7명이며 나머지 2명은 실종 상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