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 6일 음식점을 운영하는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덜어주겠다며 공공 배달앱의 제작을 확정했다. /사진=뉴시스
배달 플랫폼 ‘배달의민족’이 최근 수수료 부과방식을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바꾸면서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공공배달앱’ 개발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독과점의 횡포를 억제하는 것은 모든 정부기관의 책무”라며 “공공앱 개발 등 지금 당장 경기도가 할 수 있는 일부터 하겠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지난 6일 음식점을 운영하는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덜어주겠다며 공공 배달앱의 제작을 확정했다. 그의 취지에는 상당히 많은 시민들이 동의했지만 ‘이재명 표 공공 배달앱’을 바라보는 불편한 시선도 있다

소상공인·시민 “공공 배달앱 환영”
공공 배달앱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수요와 공급이 꾸준하게 유지돼야한다. 사용자와 소상공인의 참여가 중요하다는 말이다.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배민라이더스에 배달 오토바이가 줄지어 서있다. ‘배달의민족’ 운영사인 우아한 형제들은 이달 1일 광고수수료를 기존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변경해 비난을 받았다. /사진=뉴스1
공공 배달앱을 가장 반기는 이는 소상공인이다. 경기 수원시에서 치킨배달업소를 운영하는 A씨는 “프랜차이즈 가맹비에다 배달 수수료까지 더해져 부담이 상당했다”며 “공공 배달앱이 출시되면 적극 이용할 것”이라며 지지 의사를 보냈다.
경기도는 전북 군산시에서 운영하는 ‘배달의명수’를 모티브로 배달앱을 제작할 것으로 보인다. 이 지사도 직접 “군산시의 배달앱과 협력 논의도 마쳤다”고 언급했다.


배달의 명수는 지난달 서비스를 시작했다. 군산시는 지역자본의 역외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앱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운영에 세금이 투입되지만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시민들의 반응도 좋다.

IT·스타트업 “운영 어려워… 직접 개발 멈춰달라”
하지만 IT업계는 공공 배달앱에 회의적이다. 앱을 개발하더라도 서비스를 유지·관리하기 어려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할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북 군산시에서 운영 중인 공공 배달앱 ‘배달의 명수’ /사진=배달의 명수 캡처

IT업계 관계자는 “앱을 개발하는 것보다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더 힘들다”며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변수도 생기는데 경기도가 이를 어떻게 유지할 지가 전체적인 앱의 성공을 좌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공공 배달앱을 유지하는 전담 팀을 두거나 외부 업체에 운영을 맡기는 것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예 공공기관이 해당 앱을 제작하는 것 자체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배달의민족은 스타트업으로 시작했다.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공공기관이 앱 생태계에 뛰어들면 스타트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며 “직접 앱을 개발하기보다 제도를 개선하고 독과점의 폐해를 해소하는데 힘써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