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은행권의 신용대출이 이달 들어 열흘 만에 1조원 급증했다. 신용대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자영업자들의 자금 수요가 늘어난 상황에서 주택 구입 명목의 '영끌 대출'(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과 '빚투'(빚내서 주식 투자)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은 고삐 풀린 신용대출 핀셋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KB국민·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 10일 기준 신용대출 잔액은 125조417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과 비교하면 불과 열흘 만에 1조1425억원 늘어난 것이다.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는 지난 10일 기준 연 1.85~3.75% 수준이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예전보다 받기 어려워진 데다 금리도 더 싸다 보니 신용대출로 대거 쏠리고 있다.
또한 빚을 내서라도 '공모주 청약'에 뛰어드는 2030세대의 주식 투자 열기의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따상상상(시초가가 공모가의 2배로 뛴 뒤 상한가 3번)'을 기록한 SK바이오팜을 보며 단기 투자 차익을 얻을 수 있는 '공모주 대박'을 노리고 2030 투자자들이 더 과감하게 빚을 끌어다 투자에 나서고 있다는 얘기다.
금융당국은 이례적인 신용대출 급증에 규제 강화를 검토하고 있다. 우선 주택담보대출비율(LTV) 한도 등 부동산 규제를 우회하는 편법 대출을 막는 데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다.
모든 가계대출의 원리금 상환액을 연간 소득으로 나눈 값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범위를 조정대상지역으로 넓히는 방안도 거론된다. 현재 DSR은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에 있는 시가 9억원 초과 주택담보대출을 보유한 차주에게만 적용된다.
손병두 금융위윈회 부위원장은 지난 8일 금융 리스크 대응반 회의에서 "최근 신용대출 증가가 은행권의 대출 실적 경쟁에 기인했는지도 살펴보겠다"며 "용도를 정확히 파악하긴 어렵지만 생계자금, 사업자금 수요 증가와 주식·부동산 등 자산시장으로의 자금 유입, 인터넷 은행들의 적극적인 영업 확대 노력 등이 복합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