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완수 웹케시 부회장이 업무용 AI '에스크아바타'를 소개하는 모습. /사진제공=웹케시
웹케시그룹이 KT와 손잡고 B2B(기업 간 거래) AI(인공지능) 가상비서를 내놨다. 기업고객 관점의 사용성으로 차별화를 꾀했다.

웹케시그룹은 KT와 함께 29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B2B AI ‘에스크아바타’(ask avatar) 출시를 발표했다. 회사는 주로 생활을 돕는 기존 여러 AI 가상비서들과 달리 세계 최초의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음성 AI비서’라고 소개했다.
KT가 ‘기가지니’로 쌓아온 AI 기술·노하우와 웹케시그룹의 핀테크 등 B2B 비즈니스 인사이트가 접목된 ‘에스크아바타’는 사용자의 은행·경영·재무·세무 관련 질의에 대한 답변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은행·매출매입·세금계산서·현금영수증·법인카드·신용카드·세무·거래처·온라인매출·경리나라 등 10개 카테고리가 등록돼있다. 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 등 배달 앱 관련 매출 비중 증가를 고려해 관련 카테고리도 추가했다.

금융기관 등을 통해 제공되는 AI 서비스와 차별점으로 ‘에스크아바타’는 기업고객 관점의 사용성을 내세웠다. 특정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해당 금융사 서비스를 찾을 필요 없이 다양한 업무에 대해 한곳에 묻고 처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런 특성을 바탕으로 향후 기업고객 관점의 커스터마이징이나 서비스 고도화도 지원할 방침이다.


웹케시그룹은 ‘경리나라’를 비롯해 ‘세모장부’ 및 ‘비플’ 경비관리 등 자체 B2B서비스를 ‘에스크아바다’에 단계적으로 추가해나갈 계획이다. KT 상권분석,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제로페이 등 제휴를 통해 답변 가능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AI 가상비서의 기본적인 기능인 보이스 브리핑, 전화걸기, 메시지 보내기, 캡쳐 지시 등도 지원하며 메모·일정 등 기능도 준비 중이다.

'에스크아바타'는 앱스토어나 플레이스토어를 통해서 설치 및 이용 가능하다. 웹케시그룹에 따르면 기본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되며 앞으로 추가하는 고급 기능을 부분적으로 유료로 제공하는 등 다양한 수익모델을 가져갈 방침이다.

윤완수 웹케시그룹 부회장은 “장기적으로 국내 경제활동인구 2800만명 모두를 ‘에스크아바타’ 고객으로 만드는 게 목표”라며 “그동안 키보드와 마우스 등 손으로 업무를 봤다면 앞으로는 음성으로 일하는 시대가 온다. 고객들이 음성 AI 서비스에 적응하고 이용이 확산될 수 있도록 이르면 연내 활성 이용자 1만명을 확보하는 것을 우선과제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