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떡볶이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공정거래위원회 집계로 가맹점 수가 가장 많은 상위 브랜드이다. 최근 4년간 떡볶이 프랜차이즈 브랜드별 식품위생법 위반 현황을 보면 ‘동대문 엽기떡볶이가’ 79건으로 가장 건수가 많았다. 다음으로 신전떡볶이, 청년다방, 신참떡볶이, 응급실국물떡볶이, 감탄떡볶이 등으로 위반사례가 나타났다.
위반사유별로 살펴보면 ‘위생교육 미이수’가 64건으로 가장 많았고, ‘건강진단 미실시’ 60건, ‘기준 및 규격 위반’ 47건,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 46건, ‘영업자 준수사항 위반’ 11건, ‘시설기준 위반’ 8건 순서로 많았으며, 멸실, 폐업 등 기타 사유가 21건이었다.
이어 식품위생법 위반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조치 현황에 따르면 ‘과태료부과’가 172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시정명령’ 56건, ‘영업소폐쇄 및 영업허가·등록취소‘ 13건, ’시설개수명령‘ 8건, ’과징금부과‘ 5건, ’영업정지‘ 3건으로 집계됐다.
이어 식품위생법 위반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조치 현황에 따르면 ‘과태료부과’가 172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시정명령’ 56건, ‘영업소폐쇄 및 영업허가·등록취소‘ 13건, ’시설개수명령‘ 8건, ’과징금부과‘ 5건, ’영업정지‘ 3건으로 집계됐다.
서영석 의원실 제공
서영석 의원은 “최근 한 김밥 프랜차이즈에서 발생한 집단 식중독 사고로, 김밥으로 인한 식중독을 두려워하는 ’김밥 포비아‘라는 단어까지 생겼다”며 “코로나19로 어려운 시기에 국민 먹거리에 대한 ’포비아‘는 소비자에게도, 자영업자에게도 모두 가혹한 것이며, 이러한 상황이 반복하여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서 의원은 “프랜차이즈 본점은 본점대로 가맹점에 대한 위생 관리를 자체적으로 철저히 실시하고, 식약처 차원에서도 업체에 대한 위생 및 안전관리가 사전에 제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