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는 2000년 10월 민영화 이후 21년 만에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다. /사진=포스코
포스코그룹이 지주사체제로 전환한다.
포스코는 10일 이사회를 열어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의결했다.
포스코는 저탄소·친환경 시대로의 대전환, 기술혁신 가속화, ESG경영 강화 등 급변하는 경영환경 하에서 지속성장과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왔다. 이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그룹의 미래 신사업을 발굴하고 사업 및 투자 관리를 전담하는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했다.
지주회사 체제는 지주사인‘포스코홀딩스’를 상장사로 유지한다. 지주회사는 미래 신사업 발굴, 그룹 사업 및 투자 관리, 그룹 R&D 및 ESG 전략 수립 등을 맡는 구조다. 철강 사업회사 ‘포스코’는 물적 분할돼 지주회사가 100% 소유하게 되며 철강 사업회사뿐 아니라 향후 지주사 산하 신규 설립되는 법인들도 상장은 지양한다는 방침이다.
이러한 지배구조 체제는 핵심사업 재상장에 따른 기존 주주가치 훼손을 방지하고 지주사와 자회사의 주주간 이해관계 상충 문제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비상장 자회사의 가치가 지주사 주주의 가치로 연결되는 선진형 경영지배구조 모델"이라고 말했다.
현재의 포스코는 회사 역량이 철강사업 경쟁력 제고에 집중되고 있어 신사업 발굴·육성, 그룹사 사업구조 개선 및 그룹사간 시너지 강화를 위해 필요한 신속한 의사결정과 추진력이 미흡했다. 유망 신사업들을 추진하고 있음에도 철강 중심기업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어서 신성장 사업에 대한 가치가 시장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측면도 있었다.
포스코그룹은 이번 지주사 체제 전환을 통해 철강, 이차전지소재, 리튬·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인프라, 식량 등을 그룹의 핵심 기반사업으로 선정하고 그룹의 균형있는 성장체제를 구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포스코는 내년 1월28일 임시주총을 열어 지주회사 체제 전환 승인의 건을 안건으로 상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