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동반점의 자장면./사진=다이어리알
오랜 세월 서민의 일상 속에서 서로 다른 기억으로 자리한 음식인 만큼 자장면은 그 형태도 맛도 지역마다 다양하다. 그래서 누구나 가슴속에 나만의 자장면집 하나쯤은 품고 있기 마련이다.
◆태동반점
태동반점 외부./사진=다이어리알
전남 목포에는 '중깐'이라고 불리는 지역 특색의 자장면이 있다. 굳이 자장면과 차별화해 불리는 독특한 중깐이라는 이름에는 점심과 저녁 사이 간단히 먹는 새참이라는 의미와 중깐 메뉴를 처음 선보인 1950년 개업한 목포의 유명 노포인 중화루의 간 짜장면을 줄여서 부르는 의미가 담겨 있단다. 현재는 목포의 여러 중식당에서 중깐을 선보이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은 물론 여행객들이 구도심에 들러 꼭 맛보고 가는 명물 음식이 됐다.
목포역 인근 구도심에 자리한 '태동반점'은 중깐으로 유명한 중식당이다. 과거에 비해 다소 활기를 잃은 오래된 거리에 자리하고 있으나 '태동식당'으로 쓰인 빛바래고 낡은 간판에서 드러나는 세월만큼이나 40년 넘는 시간 동안 꿋꿋하게 맛을 이어나간 덕에 많은 지역의 방문객들이 들렀다 가는 필수 코스가 됐다.
대표 메뉴는 단연 중깐이다. 일반 자장면에 비해 면이 가늘어서 식감이 색다르며 소스는 유니짜장과 비슷하게 양파와 부재료, 고기를 온통 잘게 다져 볶아낸다. 화룡점정으로 계란 프라이를 올려내 든든함을 더한다. 애초에 간식 개념으로 개발된 메뉴인 만큼 먹고 나서도 속이 편안한 것이 특징. 얇은 면에 묵직한 농도로 볶은 자장 소스와 재료가 듬뿍 묻어나 각각의 풍미가 진하게 느껴지며 남은 소스에 어쩐지 밥을 비비고 싶은 충동은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태동반점의 군만두./사진=다이어리알
혼밥으로 자장면 한 그릇 시킨 고객들에게도 예외는 없고 처음 방문한 고객들은 주문하지 않은 음식이 나왔다며 당황하기도 한단다. 이왕 방문한 고객들이 보다 든든하게 식사하기를 바라는 마음과 함께 다양한 메뉴를 경험해 볼 수 있도록 서비스하기 시작한 것이 이곳만의 즐거운 이벤트가 된 것. 남도 밥상에 담긴 넉넉한 정은 중식당도 예외가 아닌 듯하다. 요즘과 같은 고물가 시대의 서비스는 정이자 인심이지 권리는 아니라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하겠다.
◆천마손짜장
천마손짜장의 자장면./사진=다이어리알
◆중국
중국의 자장면./사진=다이어리알
◆파주돌짜장
파주돌짜장의 자장면./사진=다이어리알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