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회담을 가진 윤석열 대통령은 16일 "양국간 외교·경제 당국간 전략대화를 비롯해 양국의 공동 이익을 논의하는 협의체들을 조속히 복원하기로 합의했다"며 "앞으로 NSC 차원의 한일 경제안보대화 출범을 포함해 다양한 협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날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정상 공동 기자회견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 /사진=뉴시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16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완전 정상화와 경제안보대화 출범에 합의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일본 도쿄 총리관저에서 한일정상회담 후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조금 전 정상회담에서 지소미아 완전 정상화를 선언했다"고 밝혔다. 지소미아는 북한의 핵·미사일 대응 위한 한일간의 군사 정보 교류 체계다. 윤 대통령은 "외교·경제 당국 간 전략 대화 등 협의체를 조속히 복원하기로 했다"며 "NSC 차원의 한일 경제안보대화 출범을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이번 (징용) 해법 발표로 양국 관계가 정상화하고 발전한다면 양국이 안보 위기에 대응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며 "북한 핵·미사일 발사와 항적에 대한 정보를 양국이 공유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일본 정부는 1998년 10월에 발표한 한일공동선언(김대중-오부치 선언)을 포함한 역사 인식과 관련된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양국간의 정치·경제·문화등의 여러 분야에 있어서 교류가 힘차게 확대되기를 기대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기시다 총리는 지난 6일 우리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문제 해법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얼마 전 한국 정부는 구(舊)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와 관련된 조치를 발표했다"며 "일본 정부로서는 이 조치를 대단히 엄중한 상태에 있었던 한일 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기 위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했다.


기시다 총리는 "윤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현재의 전략적 환경에서 한일관계의 강화가 시급하고, 1965년 국교 정상화 이후에 우호협력 관계 기반에 입각해 한일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데 의견 일치를 봤다"고 밝혔다.

또 "양국 관계에 새로운 장을 열기 위해 윤 대통령과의 정상 회담에서 양국 정상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주 방문하는 셔틀외교를 재개하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며 "양국 관계 대해 광범위한 분야에서 정부간 소통을 활성화하자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금까지 장기간 중단됐던 한일 안보 대화, 차관급 전략 대화를 조기 재개하고 고위급 한중일 프로세스를 조기에 재가동하는 중요성에 대해 의견 일치를 봤다"며 "양국 간에 새롭게 경제안보에 관한 협의체를 출범시키기로 했다"고 밝혔다.

기시다 총리는 "수출 관리 분야에서도 진전이 있었다"며 "앞으로 각 정책 분야에서 담당 부처간 대화를 폭넓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민간 교류 협력은 양국간 관계를 뒷받침하는 뼈대로 이번에 윤 대통령 방일를 계기로 양국 경제 단체가 미래지향적인 한일 협력과 교류를 위한 기금 창설을 표명한 것을 환영한다"고 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번 윤 대통령의 일본 방문은 한일관계 정상화에 대한 커다란 한걸음으로 오늘 예정된 만찬에서 윤 대통령 내외분과 더욱더 많은 얘기 나눌 수 있을 것 기대한다. 이번 계기로 신뢰와 우정이 돈독해지고 양국관계가 도약할 것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