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서울 시중은행 창구/사진=뉴시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은행 등 12개 은행 중에서 10개 은행은 3년 고정 기본금리를 3.5%로 제시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은 모두 최대 6%다. 이어 지역은행이 경남 6%, 대구 5.8%, 부산 5.8%, 광주 5.7%, 전북 5.5% 순이다. 기본금리 3.5~4.5%에 2% 안팎의 우대금리를 더해 연 6% 이상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은행별 우대금리는 1.5~2%포인트로 제시됐다. 최종 금리는 오는 12일 결정된다.
현재 공시된 1차 사전금리로 계산할 경우 최소 3.5%~최대 6.5%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은행별로 보면 가장 높은 기업은행이 3년 고정 기본금리와 소득 우대금리, 해당 은행의 우대금리를 포함해 6.5%로 가장 높다.
은행별 우대금리는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경남 등 6개 은행이 2%포인트, 대구·부산은행이 1.8%포인트, 광주은행 1.7%포인트, 기업·경남은행이 1.5%포인트다.
/자료=은행연합회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나머지 2년은 변동금리로 전환된다. 저소득층 청년에게는 0.5%포인트가량의 우대금리가 추가된다.
통상 은행 적금 상품은 만기를 채우지 못하고 해지하는 '중도 포기자' 비율이 높은 편이다. 대다수 적금 상품은 만기가 짧게는 6개월에서 길어야 3년인데, 청년도약계좌는 만기가 5년이다.
실제 청년도약계좌에 앞서 나온 청년희망적금은 연 최고 10%에 달하는 파격적인 금리 혜택에 힘입어 출시 당시 예상치의 8배가 넘는 286만8000명이 몰렸지만 지난해 말 기준 적금 유지자는 241만4000명으로 급감했다.
은행들은 고금리 책정은 부담스러워하는 분위기다. 시장금리가 하락세인 상황에서 자칫 손해를 보는 역마진 우려가 있어서다. 하지만 1차 공시 금리 보다 내려갈 가능성은 없다.
금융권 관계자는 "청년도약계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금융당국과 최종금리를 조율하고 있다"며 "우대금리를 낮추는 대신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기본금리를 좀 더 높이는 방향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