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기관이 손상되면 완전 회복이 어려우므로 소음 환경을 가급적 피하고 소음성 난청이 있다면 조기에 보청기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사진은 기사의 직접적인 내용과 관련이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27일 의료계에 따르면 난청은 흔히 노인성 질환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젊은 난청 환자가 급증하는 이유다. 축제·공연장에서의 대형 스피커 사용뿐만 아니라 이어폰 등 개인용 음향기기 사용이 늘어난 점도 젊은 난청 환자 증가 요인으로 꼽힌다.
귀가 잘 들리지 않는 현상인 난청 중 소음, 즉 시끄러운 큰 소리로 인해 발생하는 난청을 소음에 의한 난청이라고 한다. 소음에 의한 난청은 아주 큰 소리에 단시간 노출된 이후 발생하는 음향 외상과 큰 소리에 오랜 시간 노출돼 서서히 발생하는 소음성 난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소음성 난청의 대표 증상은 난청인데 4㎑의 고주파수 대역을 잘 듣지 못하고 소음 환경에서 상대방과 일상 대화를 잘 듣지 못하게 된다. 이 증상이 지속되면 중저음이나 시끄러운 소음이 없는 장소에서도 상대방과 대화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어 소음청 난청을 의심할 수 있다.
소음청 난청을 예방하려면 큰 소리를 듣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음향 외상을 막기 위해 록 페스티벌, 콘서트, 나이트클럽 등의 장소를 피하는 것이 좋다. 불가피하게 큰 소리가 나는 곳에 오래 있어야 한다면 노이즈캔슬링 등 소음제거 기능을 탑재한 이어폰으로 주변 소음을 차단하는 것도 방법이다.
난청이 의심된다면 빠른 시일 안에 가까운 이비인후과나 난청 전문센터를 방문해 정확한 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다. 청각기관은 한 번 손상되면 완전히 회복되기 어려워 치료하더라도 청력을 영원히 잃을 수 있다.
이동희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소음성 난청이 있다면 조기에 보청기를 착용할 것을 권했다.
이 교수는 "흔히 보청기는 고령층이 끼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추가적인 청력 손실을 방지하고 말소리 이해능력을 향상시키려면 보청기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며 "말소리를 더 잘 알아들어야 하고 소음 환경에서 청취하는 시간이 긴 젊은 난청인일수록 보청기가 더욱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