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신 번호를 거짓으로 표시하는 전화번호 '변작' 피해 신고는 늘고 있지만 피해 구제·수사 처리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은 지난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국정감사가 열리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11일 IT(정보기술) 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한민수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강북구을)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제출받은 '발신 번호 변작 문자 및 음성 스팸 신고 자료'를 공개했다.
2022년 약 2만9600건이었던 신고 건수는 2023년 3만4674건, 2024년 8월 기준 약 5만3566건으로 늘었다.
한민수 의원실에서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2024년 8월까지 4년8개월 동안 발신 번호 거짓 표시 피해 신고 건수는 약 20만건에 달했지만 이용정지 조치 건수는 약 1만8000건으로 신고 건수의 10%에도 미치지 못했다. 2024년 8월까지의 이용정지 사례는 756건으로 신고 대비 1.4% 수준이었다.
한 의원은 "발신 번호 변작 범죄는 피해자를 속일 의도가 담겨 있어 스팸보다 더 악질적인 범죄임에도 KISA가 조치 불가능하다는 명목하에 국민들의 피해 신고를 사실상 방치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자신의 피해를 신고한 국민께 KISA가 져야 할 책임과 의무를 끝까지 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