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사고 직전 항공기 조종사와 관제탑 사이에 오간 교신내용 일부가 공개됐다. 조종사는 분명하게 조류와 충돌했다고 밝혔고, 관제탑과 여객기 사이에 소통이 원활하지 않았던 정황도 드러났다. 사진은 지난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항공기 착륙 도중 충돌 사고의 원인으로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에 따른 항공기 엔진 폭발이 지목되는 가운데 무안국제공항 주변으로 철새떼가 날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지난 30일 국토교통부의 무안공항 항공기 사고 브리핑에서 유경수 국토부 항공안전정책관은 "사고기 조종사가 8시 59분에 조류 충돌에 따른 메이데이를 선언하고 복행(Go Around·착지하지 않고 고도를 높이는 것)을 했다"며 "당시 보낸 신호가 처음이자 유일한 조류 충돌 신호"라고 설명했다.
무안공항 관제탑은 이보다 2분 전인 오전 8시57분 조류 활동(충돌) 경고를 했고, 2분 뒤 조종사는 '메이데이, 메이데이, 메이데이'를 외쳐 조난 신호를 보낸 뒤 '버드 스트라이크, 버드 스트라이크, 고잉 어라운드'라고 통보했다고 국토부는 전했다.
사고기는 이후 9시 당초 착륙하려던 활주로 방향(01활주로)의 반대쪽에서 진입하는 19활주로를 통해 착륙을 시도했다. 9시3분깨 랜딩기어(비행기 바퀴)가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착륙하다가 사고를 당했다.
국토부는 "복항하는 과정에서 어느 순간 관제사와 소통이 원활하지 않고 착지하게 된 것으로 이해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