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완성차 업체 비야디(BYD)가 개인정보 유출 논란이 제기된 인공지능(AI) 기업 딥시크와 협업을 발표하자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우려가 재부각되고 있다. 지난달 인천시 중구 상상플랫폼에서 열린 BYD 승용 브랜드 런칭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조인철 BYD 코리아 승용부문 대표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19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BYD는 자율주행 기술 강화를 위해 딥시크와 협력해 '신의 눈(God's Eye)' 시스템을 개발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자동차 구매를 망설이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왕촨푸 BYD 회장은 지난 10일 중국 선전 본사에서 열린 스마트 전략 발표회에서 향후 출시하는 모든 차량에 딥시크 기반 자율주행 시스템을 탑재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중국 내 판매 차량에 딥시크를 탑재하고 수출 차량의 경우 각국 규제와 시장 상황을 고려해 장착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자율주행 기술이 자동차 구매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향후 국내 출시 모델에도 '신의 눈'이 탑재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
딥시크는 생성형 AI 성능 평가에서 오픈AI의 'o1'을 뛰어넘는 결과를 보여 주목받고 있다. 음성과 이미지 인식 기능이 뛰어나며 카메라와 레이더 등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해 자율주행 기술을 향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리자동차 등 중국 내 다른 완성차 업체들도 딥시크를 활용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BYD는 글로벌 전기차 판매 1위 기업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어 딥시크와의 협업이 자율주행 기술력 향상에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현재 BYD의 자율주행 기술 수준은 레벨 2~3으로, '신의 눈'이 테슬라의 풀 셀프 드라이빙(FSD)과 경쟁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중국 업체 간 협업이 정보 유출 우려를 키운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차량 주행 데이터뿐만 아니라 운행 중 통화 내역 등 다양한 정보가 중국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딥시크 협업 발표 이후 개인정보 유출 논란이 다시 불거지는 분위기다. 실제로 우리나라 정부 부처와 기관은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 글로벌 주요 국가와 기업들도 정보 보호를 이유로 딥시크 도입을 제한하고 있다. 미국 산업안보국(BIS)은 중국 및 러시아산 차량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시스템과 커넥티드카의 판매와 수입을 금지하는 규칙을 발표했다. 민간 데이터가 적대국으로 이전되는 것이 안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취지다.
BYD는 앞서 국내에 출시한 전기차 '아토3'에서도 정보 유출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차량에 적용된 무선 폰 프로젝션, 무선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능을 통해 수집된 운전자 정보가 중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대해 BYD는 국내 개인정보 보호법을 준수하며, 한국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중국 본사와 공유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텔레매틱스(운송장비 안에서 이동통신, 위성항법 따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를 통해 자동차 제조기업에 수집되는 정보들은 생각보다 다양하다"며 "현재로서는 치명적인 정보가 공유되지는 않지만 추후 결제 서비스 등이 확대된다면 유출시 실질적인 피해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