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사회민주당 의원들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MBK-홈플러스 사태 해결 촉구 야3당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사진=뉴스1 김민지 기자
22개 농축산단체로 구성된 한국농축산연합회 최근 성명을 통해 "홈플러스 사태로 인한 피해가 더 확산하지 않도록 농축산업계 피해 현황을 조사하고, 피해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 줄 것을 정부에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가공 조합·업체의 경우 홈플러스로부터 40억~100억원의 납품 대금을 정산받지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홈플러스의 대금정산이 계속 지연되면서 일선 농협, 영농조합, 유가공조합 등 신식품인 농축산물을 유통해야 하는 농축산업계는 큰 충격에 빠져있다"며 "향후 사태 장기화 시 농축산 업계의 피해를 예측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특히 2000억원에 육박하는 농협경제지주 도매부의 홈플러스 납품 차질을 우려하며 "농축산업계의 피해를 예측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농축산업계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NH투자증권이 MBK에 자금 지원하고 있다는 점도 논란이다.
지난해 9월 NH투자증권은 MBK와 영풍의 고려아연의 공개매수 주관사를 맡으며 차입금 약 1조1100억원을 빌려줬다.
이와 관련 더불어민주당 민병덕·박희승·정진욱 의원은 "국가기간산업에 대한 사모펀드의 공격에 농민들의 자금을 기반으로 한 NH투자증권이 주요 자금원으로 특히 단기성 투기자금으로 등장했다는 데 우려를 금할 수 없다"며 "국가와 지역사회 발전에 공헌한다는 존립 목적을 가진 농협과 NH투자증권이 투기 자본과 결탁해 대한민국 근로자의 일자리를 줄이고, 향토 기업을 죽이고, 이차전지 등 미래 산업의 발목을 잡는 일에 협력한다는 사실은 큰 실망감을 안겨주고 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
'농업인을 위한, 지역 농축협과 함께하는'이라는 기치를 내건 농협의 NH투자증권이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는 MBK의 차입매수를 지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차입매수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부정적이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13~14일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9%가 차입매수 방식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