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아빠차로 불린 SUV 무쏘가 전기 픽업으로 재탄생 됐다. /사진=김창성 기자
━
전통과 미래가 결합된 '오빠 스타일'━
KG모빌리티(KGM) '무쏘 EV' 외관 디자인은 아빠의 강인함과 오빠의 세련됨이 동시에 묻어난다. 회사의 디자인 철학 'Powered by Toughness'이 적용돼 편리하면서도 튼튼한 'Handy & Tough' 콘셉트로 구현됐다. 픽업 고유의 강인함과 전기차의 스마트한 이미지를 접목한 외관에 실용적인 디자인 요소가 균형 있게 표현돼 눈길을 끈다.
무쏘 EV 첫인상이 강렬하게 느껴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견고한 바디 디자인을 바탕으로 앞·뒤 라이트 및 그릴 등의 섬세함은 전기차 이미지에 맞는 깨끗하고 단순한 디자인을 활용했다.
무쏘 EV 후면부는 공구를 형상화한 LED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특징이다. /사진=김창성 기자
듀얼 프로젝션 타입의 FULL(풀) LED 헤드램프는 사선의 입체감과 수직 음각의 조화로 역동적 스타일을 완성했다. 프런트 범퍼는 전면부를 보호하는 입체적인 그릴 형상에 토잉 후크 커버와 고휘도 실버 스키드플레이트가 포인트를 줘 강력한 아웃도어 이미지도 구현했다.
측면부는 승용차와 트럭의 경계를 낮춰 일상과 아웃도어를 아우르는 균형감을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데크와 바디가 하나로 이루어진 강력한 픽업 스타일의 차체일체형 디자인에 긴 휠베이스를 통해 안정적인 비율을 강조한 것이 눈에 띈다.
무쏘 EV 2열은 성인 남성이 앉기에도 공간이 충분하다. /사진=김창성 기자
후면부는 실용성과 스타일을 동시에 구현했다. 대형 KGM 엠블럼과 공구를 형상화한 LED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조화를 이룬다.
데크는 최대 500kg까지 적재할 수 있을 만큼 넓다. 캠핑 장비, 서핑보드, 바이크, 골브택 등 레저 활동에 필요한 각종 장비들을 여유롭게 실을 수 있을 정도다.
실내 디자인 콘셉트는 'Slim & Wide'다. 운전에 집중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 설계에 넓고 시원한 개방감을 주는 레이아웃을 적용해 일체감이 느껴진다.
무쏘 EV는 1열의 내비게이션 화면과 공조기 사이(사진 속 빨간 동그라미)의 물리버튼 적용 등 공간 활용이 다소 아쉽다. /사진=김창성 기자
2열 공간도 성인 남성이 타기에 무리가 없어 전체적인 활용성이 패밀리카까지 확대돼도 큰 무리가 없어 보였다.
━
역동적인 주행 능력·뛰어난 전비 강점━
왕복 2시간여 동안 이어진 시승 코스는 복잡한 도심 도로와 고속도로, 서울 외곽의 구불구불한 시골길로 구성됐다. 시속 50㎞~60㎞대의 속도 제한 구간이 곳곳에 넘치고 정체 구간도 혼재돼 고속 주행 구간이 짧았지만 역동적인 주행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쏘 EV의 데크는 최대 500kg까지 적재할 수 있을 만큼 공간이 넓다. /사진=김창성 기자
다양한 환경의 도로에서 주행해본 무쏘 EV는 날렵했다. 저속에서 고속으로 진입하는 순간 스피드가 인상적이었다. 주행 중 스티어링 휠에서 미세한 진동이 느껴졌지만 운전을 방해할 정도는 아니었다.
브레이크 페달은 다소 민감한 느낌이 들었다. 조금만 밟아도 반응이 크게 와 안정적인 제동과는 별개로 다소 적응이 필요했다.
굽이진 서울 외곽의 시골길에선 안정적인 코너링과 적절한 ADAS(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가동이 돋보였다. 도로에 깔린 공사구간 구조물 등이 있어도 차 주변을 360도 인식하는 4코너 BSD(Blind Spot Detection) 시스템이 작동한다.
무쏘 EV의 데크는 공간이 넓어 다양한 활용성이 기대된다. /사진=김창성 기자
승차감은 푹신한 느낌 보다 다소 딱딱했지만 거부감이 들 정도는 아니다. 정숙성은 뛰어났다.소음 발생 부위에 사운드 인슐레이터를 적용하고 터널 아웃터 흡차음재를 추가해 엔진 노이즈 유입을 최소화한 결과다.
A·B·C 각 필러에도 발포 패드 흡음재를 최대로 적용해 실내 유입 소음을 원천 차단했고 노면과 바람·우천 시 소음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차체 하부와 루프에 댐핑시트와 흡음재를 각각 적용해 풍절음이 느껴지지 않았다.
아쉬운 부분도 보였다. 내비게이션 화면과 공조기 사이에 휑한 공간에 물리 버튼을 적용해 직관성을 더 높였다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무쏘 EV의 측면부는 승용차와 트럭의 경계를 낮춰 일상과 아웃도어를 아우르는 균형감이 돋보인다. /사진=김창성 기자
전비는 훌륭했다. 무쏘 EV에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화재 위험성이 낮은 80.6kWh 용량의 LFP(리튬인산철) 블레이드 배터리가 탑재됐다.
공기저항을 많이 받는 픽업 특유의 구조에도 1회 충전 주행거리가 400㎞ 및 복합 전비 4.2㎞/kWh 인증(2WD, 17인치 휠 기준)을 받았지만 왕복 약 90㎞ 거리를 시승하는 동안의 전비는 5.2㎞/kWh가 찍혔다.
다소 아쉬웠지만 전체적으로 무난했던 무쏘 EV의 판매 가격은 ▲MX 4800만원 ▲블랙 엣지 5050만원이며 국고 보조금 652만원, 지방자치단체 보조금 186만원(서울시)을 받으면 3962만원에 구입 가능하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