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청문회에 참석한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사진은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오전 질의를 마친 뒤 회의장을 나서는 모습. /사진=뉴시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 전면 부인했다.

16일 뉴스1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의 관련 질의를 받고 "대부분의 연구가 학생이 학위논문을 하기 전에 제가 국가 연구 프로젝트를 수주해서 연구 책임자로 수행한 연구"라며 "제가 제1저자가 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제자가 연구를 발전시켜서 본인의 학위 논문으로 가져간 것이다. 같은 실험을 했기 때문에 논문에 담긴 표가 같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연구를 기획하고 모든 실험 환경을 조성하고 방법론을 계획했고 단지 실험하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제자가 손발이 돼 도와준 것"이라 설명했다.

'범학계 국민검증단이 이 후보자의 논문을 검증한 결과 표절률이 높게 나온 것에 관해 설명해달라'는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요청에는 "2007년부터 총장 임용 직전까지 거의 100편의 논문을 충남대에서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검증해서 모두 10% 미만 판정받았다"며 "논문이 쌓이면 자료도 겹치고 유사 자료가 겹칠 때마다 카피킬러상 유사도도 높아진다.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라고 주장했다.

이 후보자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기준과 책임이 막중하다는 것을 깨닫는 시간이었다"면서도 "다만 지난 30여년간 저는 학자적인 양심에 따라 학문의 진실성을 탐구해왔고 제자들을 양성해 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게 의혹이 생긴 부분은 죄송하다"면서도 "그간 연구윤리와 관련해 국민들께 소상히 설명해 드리고 이해를 구하기 희망한다"고 전했다.


끝으로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이 '보수와 진보를 가릴 것 없이 이 후보자를 반대하는데 자진 사퇴할 의사가 있느냐' 질의에는 "몇 분들이 반대했지만 22만 충남대 총동창회를 비롯해 국공립대학총장협의회, 실제 다수 교수 집단이 지지 성명을 냈다"고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