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투자증권이 한국예탁결제원 토큰증권 테스트베드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참여한 가운데 기능 검증을 마쳤다고 16일 밝혔다. 사진은 신한투자증권 사옥. /사진=신한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이 토큰증권 기능 테스트를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신한투자증권은 한국예탁결제원이 지난해 10월부터 8개월 동안 주관한 토큰증권 테스트베드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참여했다. 신한투자증권은 기술적·운영적 측면에서 주요 기능에 대한 검증을 성공적으로 마친 것이다.


이번 테스트베드는 토큰증권 제도 도입에 앞서 시장 인프라를 사전에 점검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됐다. 블록체인 분산원장에 기록된 거래 정보를 수집·검증하고 전자등록기관의 총량 관리 기능을 테스트 환경에 구현, 발행 총량과 유통 총량 간의 일치 여부를 실증하는 구조로 설계됐다.

'펄스'(PULSE) 분산원장 인프라는 신한투자증권, SK증권, LS증권이 노드로 참여해 원장의 무결성과 투명성을 확보했다. 기술사인 블록체인글로벌이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안정성을 지원했다.

우리나라보다 앞선 일본의 토큰증권 시장을 보면 초기 제도화 과정에서 주요 인프라 운영사가 시장 표준을 선점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행 플랫폼과 유통 생태계의 독점적 지위를 확보한 사례가 있어 향후 관심이 주목된다.


신한투자증권 관계자는 "프로젝트 펄스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세 곳 이상의 증권사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분산원장 모델이며, 참여 증권사 모두가 토큰증권 관련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이력을 보유하고 있다"라며 "토큰증권 제도화 이후 시장 주도권 확보 측면에서 전략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