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팡펑션' 포스터, '흑백요리사' 포스터

(서울=뉴스1) 안태현 기자 = 서경덕 성신여대 창의융합학부 교수가 중국에서 등장한 '흑백요리사' 표절 의혹 예능 프로그램을 비판했다.

28일 서경덕 교수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중국 IT 기업 텐센트가 운영하는 OTT 플랫폼 텐센트비디오는 지난 17일 새 예능 프로그램 '이팡펑션'(?封神)을 처음 공개했다"라면서도 "하지만 해당 (예능의) 설정은 흑·백수저로 요리사 계급을 나눠 경연하게 한 '흑백요리사'의 대결 방식과 매우 유사해 중국 누리꾼에게도 큰 질타를 받고 있는 상황"이라는 글을 게시했다.


이어 "특히 넷플릭스 측에서도 중국에 판권을 판 적이 없다고 밝힌 상황이라 중국의 '콘텐츠 베끼기'의 심각성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라며 "더 기가막힌 건 프로그램 내에 김치를 담그는 장면이 나오면서 이를 '김치'가 아닌 '파오차이'로 소개를 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서 교수는 "잘 아시듯이 '파오차이'는 중국 쓰촨성 지역의 채소 절임 음식으로 '피클'과 유사하지 김치와는 전혀 다른 음식"이라며 "하지만 지난 몇 년간 중국은 김치가 자국에서 유래했다는 '김치공정'을 대놓고 펼치고 있다"라고 얘기했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중국 언론 및 SNS를 넘어 이젠 OTT까지 활용해 김치를 왜곡하고 있지만, 이런 상황을 잘 역이용해 중국 짝퉁 문화를 전 세계에 고발하고, 우리의 김치를 세계인들에게 더 홍보할 수 있는 계기로 만들어야만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냈다.


한편 지난 17일 공개된 텐센트비디오 예능 '이팡펑션'은 16명의 업계 대표 셰프들과 84명의 신인 셰프들의 요리 경연을 담은 프로그램으로, 100명의 셰프 중 최고의 셰프를 선발하는 과정을 담는다. 하지만 이런 형식은 지난해 9월부터 10월까지 공개된 후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던 넷플릭스 오리지널 예능 '흑백요리사'와 너무 유사하다는 지적이 등장하고 있다.

'이팡펑션'의 표절 논란과 관련해 지난 24일 넷플릭스는 뉴스1에 "중국에 '흑백요리사' 판권을 판 적이 없다"라며 "현재 대응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