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9월 전세계 선박 수주량은 350만CGT로 지난 8월(360만CGT) 대비 3%, 지난해 9월(629만CGT) 대비 44% 감소했다. 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는 선박의 크기뿐 아니라 제작 난이도 등을 반영해 실제 건조 규모를 나타내는 단위다.
수주규모는 중국이 142만CGT(40%)로 1위, 한국은 135만CGT(39%)로 2위를 기록했다. 척당 환산톤수(배 한척당 평균 크기)는 한국이 4.1만CGT로 중국(2.1만CGT)의 두배 수준이다.
조선사들의 올해 1~9월 누적 수주량은 3264만CGT(1185척)로 지난해보다 47% 줄었다. 한국은 734만CGT(169척, 22%), 중국은 1833만CGT(725척, 56%)로 각각 17%, 58% 감소했다.
9월 말 기준 전세계 수주잔량(아직 만들지 않은 계약 물량)은 지난 8월보다 7만CGT 늘어난 1억6599만CGT였다. 한국은 3381만CGT(20%)로 44만CGT 감소했고 중국은 1억86만CGT(61%)로 31만CGT 증가했다.
클락슨 신조선가지수(새로 만든 배의 평균 가격 수준)는 8월(186.26)보다 0.68포인트 하락한 185.58로 보합세(변동 없이 유지되는 상태)를 유지했다. 주요 선종별 선가는 ▲LNG운반선(액체 천연가스를 실어나르는 배) 2억5000만달러 ▲초대형 유조선 1억2600만달러 ▲초대형 컨테이너선 2억7000만달러 수준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