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61세 이상 고령층의 절도 범죄가 절반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절도 범죄는 소폭 증가에 그친 것과 대조적이다. /사진=뉴스1
최근 5년간 전체 절도 범죄는 소폭 증가에 그쳤지만 71세 이상 고령층의 절도 범죄가 절반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어려움에 내몰린 고령층의 생계형 범죄 가능성이 제기된다.

12일 뉴시스 등에 따르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실이 경찰청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절도로 검거된 사람은 9만9746명에서 10만876명으로 1.1%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61세 이상 고령층은 2만3141명에서 3만4185명으로 47.7% 급증했다. 특히 71세 이상은 9624명에서 1만6223명으로 68.5% 폭증했다. 반면 60세 이하는 7만6605명에서 6만6691명으로 12.9% 감소했다. 전체 절도 범죄가 정체 상태인 가운데 고령층 범죄만 가파르게 늘어난 셈이다.

백 의원은 "경제활동이 어려운 71세 이상 연령대에서 절도 범죄가 집중적으로 증가하는 건 생계형 범죄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고령층 절도 범죄는 식료품이나 생필품을 훔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적 빈곤과 사회적 고립이 범죄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백 의원은 이 같은 고령층 범죄 증가에도 정부 부처 간 협력 체계가 전무하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백 의원실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경찰청·법무부 등 소관 부처와 별도 협업이나 연계가 없는 상황이다. 재범 예방 업무도 따로 하지 않고 있다.


백 의원은 "복지부는 경제적 지원과 일자리 제공 등 예방적 사회안전망을 강화해야 한다"며 "범부처 협력을 통해 재범 방지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