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로고. 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이 지난 1분기 이후 3개 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부실채권 정리 효과가 이어지면서 건전성 지표도 개선됐다.
13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4221억원으로 집계됐다. 3분기 순익은 1651억원으로 대손충당금 전입 규모가 줄어든 영향이 컸다.

3분기 총자산은 124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6조1000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여신은 경기 회복 지연과 대출 취급 감소 등으로 1조5000억원 줄어 93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수신은 연말 만기 도래에 대비한 사전 예금 유치 영향으로 5조5000억원 늘어난 105조원이다.


이자이익은 1분기 1조3000억원에서 2분기와 3분기 각각 1조4000억원 수준을 유지했다. 일반자금대출 신규 취급 가중평균 금리는 3월 10.8%, 6월 10.1%, 9월 9.2%로 하락 흐름이 이어졌다.

3분기 연체율은 6.90%로 전 분기(7.53%) 대비 0.63%포인트 낮아졌다. PF(프로젝트파이낸싱) 공동펀드 매각 등 상·매각 규모 확대가 영향을 미쳤다. 올해 1~3분기 누적 PF 부실채권 상·매각 규모는 5조5000억원이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9.57%로 1.25%포인트 하락했고, 가계대출 연체율은 4.76%로 0.16%포인트 상승했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1분기 9000억원에서 2·3분기 각 7000억원으로 줄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8.79%로 전 분기(9.49%) 대비 0.70%포인트 낮아졌다. 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5.67%로 0.07%포인트 상승했다. 유동성비율은 122.31%, 대손충당금비율은 110.83%다.


정책금융상품인 햇살론·사잇돌2 대출 잔액은 각각 1000억원씩 늘어 3분기 6조5000억원이 됐다. 반면 중금리대출 잔액은 2조1000억원 감소한 17조4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중금리대출 금리 상한은 상반기 17.14%에서 하반기 16.51%로 조정됐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부실채권의 적극적인 정리를 통해 자산건전성도 회복되고 있고 3분기 연속 당기순이익 시현 등 수익성도 개선되어 경영안정성은 양호"하다며 "가계부채 관리강화 기조 지속 및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 증대 등이 영업상 제약요인으로 여전히 상존"한다고 말했다.

이어 "영업확대 전략 보다는 자산건전성 제고, 선제적 충당금 적립 등 리스크 관리 강화에 중점을 둔 경영전략을 시행"하고 있으며 "본격적인 턴어라운드에 앞서 건전성 제고 등 체질 개선을 통한 내부 역량 축적에 우선순위를 두고, 영업 경쟁력 확충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