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셀린느는 이달 중순 '룰루 백' 라인을 포함한 일부 가방·액세서리 가격을 평균 5% 인상했다. 대표 제품인 라지 룰루 백은 335만원에서 350만원으로, 틴 룰루 백은 250만원에서 265만원으로 각각 4.5~6% 올랐다. 같은 날 티파니도 반지·팔찌·목걸이 등 주요 제품 가격을 일제히 3% 조정하며 연내 세 번째 인상을 단행했다.
하이엔드 브랜드들의 인상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샤넬은 지난 4일 '샤넬 25' 핸드백 라인을 평균 9% 올렸다. 스몰백은 907만원에서 992만원으로, 미디엄백은 970만원에서 1073만원으로 10% 넘게 상승했다. 샤넬은 올해만 1월(가방), 3월(코스메틱), 6월(가방·주얼리), 9월(지갑·신발)에 이어 연말 다시 가격을 조정했다.
루이비통도 7일 알마 BB, 스피디 반둘리에 30 등의 가격을 3~4% 추가 인상하며 올해 들어 세 번째 조정에 나섰다. 보테가베네타는 지난 6일 '라지 안디아모'를 1136만원에서 1301만원으로 14.5% 올리는 등 올해 2월·5월에 이어 세 번째 인상을 단행했다. 불가리는 10일 세르펜티·디바스 드림 등 주얼리·워치 라인을 3% 인상했으며, 바쉐론 콘스탄틴과 오메가도 5% 안팎의 가격을 조정했다.
연말 한 달 남짓한 기간 동안 최소 10개 이상의 주요 브랜드가 가격을 올린 셈이다. 단순히 환율·원자재 요인만으로 설명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 가격이 오를수록 소비자는 '더 오르기 전 사자'는 심리를 보이고 브랜드는 이 수요를 가격 정책에 적극 활용하는 구조가 고착화됐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일부에서는 "한국만 유독 가격 인상이 잦다"며 '배짱 장사'라는 지적도 있다. 실제 유럽연합(EU)은 최근 구찌·끌로에·로에베 등 명품 브랜드에 재판매가격유지(RPM) 행위로 과징금을 부과했지만, 같은 브랜드들의 한국 내 가격은 올해만 3~5차례 올렸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