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인 기업인 재기지원 정책 필요"
유병철 기자
2,779
공유하기
실패한 기업인을 돕는 체계적인 재기지원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소기업연구원은 24일 `국내외 재기지원제도 특징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국내 재기지원 정책은 걸음마 수준으로 뚜렷한 성과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중기연은 "국내 재기지원제도는 자금지원에서 컨설팅지원으로 영역이 확대되고 있지만, 아직 초기단계로 실적이 미흡하다"며 "실패기업인 입장에서 어떤 정책이 필요한지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과 달리 민간이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미국·일본·유럽의 재기지원제도를 벤치마킹할 것을 제안했다.
중기연은 "선진국은 자금지원보다는 컨설팅과 멘토링, 커뮤니티 중심의 지원으로 실패기업인이 정신적으로 치유하고 재도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돕고 있다"고 지적하고, ▲부실징후부터 재창업까지 단계별 위기관리 시스템 ▲금융·사법·정부 등 관련 기관 협의체 ▲기업회생·재기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실패기업인의 경험·정보 공유 플랫폼 등을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중소기업연구원은 24일 `국내외 재기지원제도 특징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국내 재기지원 정책은 걸음마 수준으로 뚜렷한 성과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중기연은 "국내 재기지원제도는 자금지원에서 컨설팅지원으로 영역이 확대되고 있지만, 아직 초기단계로 실적이 미흡하다"며 "실패기업인 입장에서 어떤 정책이 필요한지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과 달리 민간이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미국·일본·유럽의 재기지원제도를 벤치마킹할 것을 제안했다.
중기연은 "선진국은 자금지원보다는 컨설팅과 멘토링, 커뮤니티 중심의 지원으로 실패기업인이 정신적으로 치유하고 재도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돕고 있다"고 지적하고, ▲부실징후부터 재창업까지 단계별 위기관리 시스템 ▲금융·사법·정부 등 관련 기관 협의체 ▲기업회생·재기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실패기업인의 경험·정보 공유 플랫폼 등을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