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정책, 기본부터 바꿔야
원전사태를 바라보는 전문가 시각
정혜선 기자
3,999
공유하기
원전사태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나오지 않는 시점에서 전력난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으며, 해결방안은 무엇일까. 조성경 명지대 방목기초교육대 교수와 장우석 현대경제연구소 산업정책연구실 연구위원 등 전문가 2인에게 들어봤다.
- 전력난의 원인을 무엇이라고 보나.
조성경 교수(이하 조) : 전력난이 고질적인 문제로 이어진 건 정책 탓이 크다. 과거에 비해 생활환경이나 소비패턴 등이 달라졌음에도 전력관련 정책은 바뀌지 않았다. 매너리즘에 빠져서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다보니 사회적 요구를 보지 못한 것이다.
장우석 연구위원(이하 장) : 근본적으로 전력난은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때문에 발생한다. 지난 10년간 원전 설비량는 3.7% 증가한 반면 연평균 수요는 5% 늘어났다. 공급예비율이 낮게 유지되는 상황에서 원전이 갑작스레 멈추는 것도 전력난으로 이어진다.
- 정부가 전력난 해결의 일환으로 전기료를 인상했다. 맞는 해결방법인가.
조 : 우리나라 전기요금이 비정상적으로 싼 건 맞다. 하지만 전기요금을 올린다고 해서 전력문제가 해결되는 건 아니다.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제도를 바꾸고, 공급량을 늘리기 위한 기술개발도 이뤄져야 한다. 전기요금만 올리면 국민들의 부담만 가중되고 결국 전력난은 해결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 정부는 전력난 해소를 위해 원전을 더 지어야 한다고 말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조 : 전력설비를 늘려야하는 것은 맞다. 현재 사용 가능한 에너지 중 우리나라에 적합한 게 원자력에너지다. 신재생에너지는 너무 비싸고, 화력에너지는 공해가 발생한다. 따라서 부족한 전력량을 채울 수 있는 건 원전설비 확충밖에 없다.
장 : 민감하고 쉽지 않은 문제라 단순하게 짓는 게 맞다, 틀리다라고 말하기 어렵지만 확실한 건 원전사용을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원전에서 만든 전기가 싸다는 인식이 팽배했지만, 일본 후쿠시마 사태로 원전 안전에 대한 문제가 부각됐다. 정부의 인식도 바뀌고 있다.
-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원전 비리를 없애기 위해서는?
장 : 원자력발전소에 들어가는 부품 비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건 원가 절감과도 연관이 깊다. 원자력산업계가 워낙 폐쇄적인 곳이다보니 단숨에 비리를 없애기는 쉽지 않지만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우선에 두고 충분한 예비정비기간 확보에 주력할 수 있도록 성과평가기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 후쿠시마 사태로 다른 나라는 원전사용을 줄인 반면 우리나라는 오히려 늘었다던데.
조 : 늘지 않았다. 2008년 실시된 국가에너지기본계획 때는 원전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41%로 늘리기로 했다. 그러나 12월 실시된 2차 국기본에서는 그 비중을 29%로 줄였다.
장 : 늘리지 않았다. 정부 차원에서 원자력 안전관리를 최우선 국정과제로 선정해 추진할 정도로 신경쓰고 있다. 원전은 다른 발전소와 달리 사고가 발생할 경우 천문학적 규모의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 전력난이 정부의 책임인가.
조 : 엄밀히 말하면 전력난은 국민과 정부의 공동작품이다. 하지만 정책을 제대로 쓰지 못한 정부의 책임이 크다. 원전 비리에 대해서는 정부의 책임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후쿠시마 사태로 원전에 대한 두려움이 대국민적으로 큰 상태에서 정부가 부품 비리를 알면서도 눈감아줬을 리 없다. 원자력산업계의 탓으로 봐야한다.
장 : 정부는 경제발전을 위해 저에너지 정책을 써왔다. 그런 측면에서 전력난을 정부의 잘못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원전 비리로 인해 전력난이 더 심해진 건 사실이지만, 비리로 인한 전력난 심화를 정부의 탓이라고만 할 순 없다.
- 전력난 해소방안은?
조 : 제도와 규제, 문화가 같이 가야 한다. 예컨대 에너지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전구를 LED로 교체할 경우 사용가능한 전구를 가져오면 다른 제품으로 교환할 수 있는 쿠폰을 주는 등 다양한 혜택을 주는 거다. 그러면 자발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챙기게 될 것이다.
장 : 국가 에너지정책의 기본방향을 수요관리 강화, 에너지 효율향상, 고급체계 개선으로 전환해야 한다. 수요관리 측면에서는 가격인상 외에도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기준을 강화하고 백화점이나 호텔 같은 에너지 다소비 건물에 누진제를 추가 도입하는 것이 대표적인 방법이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11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 전력난의 원인을 무엇이라고 보나.
![]() |
장우석 연구위원(이하 장) : 근본적으로 전력난은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때문에 발생한다. 지난 10년간 원전 설비량는 3.7% 증가한 반면 연평균 수요는 5% 늘어났다. 공급예비율이 낮게 유지되는 상황에서 원전이 갑작스레 멈추는 것도 전력난으로 이어진다.
- 정부가 전력난 해결의 일환으로 전기료를 인상했다. 맞는 해결방법인가.
조 : 우리나라 전기요금이 비정상적으로 싼 건 맞다. 하지만 전기요금을 올린다고 해서 전력문제가 해결되는 건 아니다.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제도를 바꾸고, 공급량을 늘리기 위한 기술개발도 이뤄져야 한다. 전기요금만 올리면 국민들의 부담만 가중되고 결국 전력난은 해결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 정부는 전력난 해소를 위해 원전을 더 지어야 한다고 말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조 : 전력설비를 늘려야하는 것은 맞다. 현재 사용 가능한 에너지 중 우리나라에 적합한 게 원자력에너지다. 신재생에너지는 너무 비싸고, 화력에너지는 공해가 발생한다. 따라서 부족한 전력량을 채울 수 있는 건 원전설비 확충밖에 없다.
![]() |
-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원전 비리를 없애기 위해서는?
장 : 원자력발전소에 들어가는 부품 비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건 원가 절감과도 연관이 깊다. 원자력산업계가 워낙 폐쇄적인 곳이다보니 단숨에 비리를 없애기는 쉽지 않지만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우선에 두고 충분한 예비정비기간 확보에 주력할 수 있도록 성과평가기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 후쿠시마 사태로 다른 나라는 원전사용을 줄인 반면 우리나라는 오히려 늘었다던데.
조 : 늘지 않았다. 2008년 실시된 국가에너지기본계획 때는 원전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41%로 늘리기로 했다. 그러나 12월 실시된 2차 국기본에서는 그 비중을 29%로 줄였다.
장 : 늘리지 않았다. 정부 차원에서 원자력 안전관리를 최우선 국정과제로 선정해 추진할 정도로 신경쓰고 있다. 원전은 다른 발전소와 달리 사고가 발생할 경우 천문학적 규모의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 전력난이 정부의 책임인가.
조 : 엄밀히 말하면 전력난은 국민과 정부의 공동작품이다. 하지만 정책을 제대로 쓰지 못한 정부의 책임이 크다. 원전 비리에 대해서는 정부의 책임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후쿠시마 사태로 원전에 대한 두려움이 대국민적으로 큰 상태에서 정부가 부품 비리를 알면서도 눈감아줬을 리 없다. 원자력산업계의 탓으로 봐야한다.
장 : 정부는 경제발전을 위해 저에너지 정책을 써왔다. 그런 측면에서 전력난을 정부의 잘못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원전 비리로 인해 전력난이 더 심해진 건 사실이지만, 비리로 인한 전력난 심화를 정부의 탓이라고만 할 순 없다.
- 전력난 해소방안은?
조 : 제도와 규제, 문화가 같이 가야 한다. 예컨대 에너지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전구를 LED로 교체할 경우 사용가능한 전구를 가져오면 다른 제품으로 교환할 수 있는 쿠폰을 주는 등 다양한 혜택을 주는 거다. 그러면 자발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챙기게 될 것이다.
장 : 국가 에너지정책의 기본방향을 수요관리 강화, 에너지 효율향상, 고급체계 개선으로 전환해야 한다. 수요관리 측면에서는 가격인상 외에도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기준을 강화하고 백화점이나 호텔 같은 에너지 다소비 건물에 누진제를 추가 도입하는 것이 대표적인 방법이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11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