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금융지주 회장·행장 낙하산 선임 막는다
성승제 기자
1,033
공유하기
|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금융지주 회장과 은행장의 경우 내부 승진자나 금융업권 전문 경영인이 전담할 수 있도록 낙하산 선임을 막기로 했다.
주요 대상자는 관피아(관료+마피아) 등이다.
금융당국이 낙하산 척결에 나선 이유는 최근 금융권 사고의 규모와 빈도가 갈수록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앞서 청와대도 관피아 척결을 주문한 바 있다.
현재 4대 금융지주와 은행 수장 가운데 외부 인사는 임영록 KB금융 회장과 이건호 행장이다. 임영록 회장은 재무부 출신으로 대표적인 관피아로 분류되며 이 행장도 금융연구원 출신이다. KB금융지주 전 회장은 이명박 정부의 실세였던 어윤대 전 고려대 총장이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국민카드 고객 정보 유출에 이어 도쿄지점 5000여억원 부당 대출 비리, 주택기금 횡령, 1조원대 허위 입금증 사고까지 금융 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최근에는 국민은행 주전산기 교체를 놓고 임 회장과 이 행장이 정면 대립하면서 내부 통제 부실까지 드러나 금융당국으로부터 사전 중징계까지 통보받았다.
농협금융지주의 경우 재무부 출신의 임종룡 회장이 있으며 홍기택 산은금융그룹 회장 겸 산업은행장은 친박계 인사로 분류되고 있다.
금융당국은 이런 낙하산 인사 배제와 더불어 중징계를 받은 최고경영자의 퇴출을 통해 금융권 선순환 구조도 정착시킬 방침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