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DB
사진=뉴스1DB
급락세를 거듭했던 유가가 오름세로 전환되는 추세다.




3일 정유업계에 따르면 SK에너지와 GS칼텍스는 휘발유 공급가를 각각 1436원, 1432원으로 책정했다. 지난주 대비 리터당 3원가량 인상된 금액이다.




반면 경유값은 리터당 4원씩 내려 SK에너지는 1273원, GS칼텍스는 1261원이 됐다. 등유값은 SK에너지가 5원 올려 763원, GS칼텍스는 4원 올려 765원이다.

지난주(26∼30일) 두바이유 평균가격은 배럴당 44.57달러로, 전주(19∼23일)의 44.94달러보다 0.37달러 내렸다. 싱가포르 현물시장의 휘발유 제품가격도 지난주 평균 53.37달러로, 전주 가격 53.77달러 대비 0.4달러 하락했다.




이에 따라 국내 휘발유 공급기준 가격도 애초 리터당 2∼3원 내릴 것으로 예상됐지만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기 시작하자 공급가격을 올린 것으로 해석된다.

두바이유 가격은 14일(이하 현지시간) 배럴당 42.55달러, 휘발유 제품값은 13일 50.66달러로 최저점을 찍고 나서 44달러 안팎에서 보합세를 유지했다.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에 배럴당 0.96달러 오르며 상승세로 돌아서더니 이날 3.22달러 급등해 48.81달러에 거래됐다.

이처럼 국제유가가 저점을 찍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국내 주유소도 즉각 반응하는 모양새다.




한편 휘발유 평균값은 리터당 1412원이며, 충북 음성의 상평주유소가 1245원으로 전국 최저가에 팔고 있다. 휘발유를 리터당 1200원대에 판매하는 주유소는 전국 132곳, 1200원대는 7460여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