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증상 7~9월 급증, 예방법은?
정채희 기자
2,773
공유하기
'식중독 증상'
30도를 웃도는 무더위가 계속됨에 따라 식중독 환자도 늘고 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해수 온도가 높아지는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어패류 등의 조리와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연간 발생하는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의 86%가 매년 7월에서 9월 사이에 발생된다.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은 연안 해수에 존재하는 세균으로 20~37℃에서 빠르게 증식하기 때문에 해수 온도가 20℃이상 올라가는 여름철에 주로 식중독을 일으킨다. 이 균은 생선, 조개, 오징어 등의 표피, 아가미, 내장 등에 있는 장염비브리오균이 조리과정에서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거나, 칼, 도마, 행주 등 조리도구를 통해 2차 오염이 돼 발생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날로 먹는 횟감(생선, 멍게, 해삼, 조개 등)은 흐르는 수돗물에 2~3회 정도 잘 씻고, 횟감용 칼과 도마를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사용한 조리도구는 세척, 열탕 처리해 장염비브리오균의 2차 오염을 방지한다.
특히 노약자의 경우 가급적 어패류를 날로 먹지 말고 가열, 조리(85℃, 1분 이상)해 섭취한다. 어패류는 구입 후 신속히 5℃ 이하로 냉장 또는 -18℃ 이하로 냉동 보관해 장염비브리오균의 증식을 억제해야 한다.
식약처는 식중독 없는 건강한 여름나기를 위해 조리 전후 손 씻기 등 개인위생뿐 아니라 식재료 유통기한, 신선도 확인 등 음식물 조리, 보관에도 각별히 주의해줄 것을 당부했다.
30도를 웃도는 무더위가 계속됨에 따라 식중독 환자도 늘고 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해수 온도가 높아지는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어패류 등의 조리와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연간 발생하는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의 86%가 매년 7월에서 9월 사이에 발생된다.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은 연안 해수에 존재하는 세균으로 20~37℃에서 빠르게 증식하기 때문에 해수 온도가 20℃이상 올라가는 여름철에 주로 식중독을 일으킨다. 이 균은 생선, 조개, 오징어 등의 표피, 아가미, 내장 등에 있는 장염비브리오균이 조리과정에서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거나, 칼, 도마, 행주 등 조리도구를 통해 2차 오염이 돼 발생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날로 먹는 횟감(생선, 멍게, 해삼, 조개 등)은 흐르는 수돗물에 2~3회 정도 잘 씻고, 횟감용 칼과 도마를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사용한 조리도구는 세척, 열탕 처리해 장염비브리오균의 2차 오염을 방지한다.
특히 노약자의 경우 가급적 어패류를 날로 먹지 말고 가열, 조리(85℃, 1분 이상)해 섭취한다. 어패류는 구입 후 신속히 5℃ 이하로 냉장 또는 -18℃ 이하로 냉동 보관해 장염비브리오균의 증식을 억제해야 한다.
식약처는 식중독 없는 건강한 여름나기를 위해 조리 전후 손 씻기 등 개인위생뿐 아니라 식재료 유통기한, 신선도 확인 등 음식물 조리, 보관에도 각별히 주의해줄 것을 당부했다.
![]() |
식중독을 예방하는 손 씻는 방법. /사진=하이닥 제공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