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과잉 등 악재 산적…건설사 체감경기 위축
성동규 기자
2,198
공유하기
![]() |
자료제공=주택산업연구원 |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7월 전국 주택사업환경지수가 6월보다 13.7p 하락한 112.0을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주택사업환경지수는 서울, 수도권, 지방 모두 지난달보다 하락했다. 서울과 수도권 전망치는 전월대비 각각 19.0p, 14.0p 하락한 118.2, 122.2를 기록했다.
지방은 6.2p 떨어진 119.0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경기지역, 지방에서는 대구, 부산, 울산, 세종시가 우위를 보였다. 전달 모두 하락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서울(16.9p↑). 수도권(28.2p↑), 지방(22.9p↑) 모두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역시장도 모두 내림세로 전환됐으나 대구는 0.6p 상승한 136.4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락폭이 가장 큰 지역은 서울(19.0p↓), 경북(17.4↓), 경기(17.1↓) 등의 순이었다.
분양계획지수는 129.3(전달보다 6.7p↓), 분양실적지수는 126.0(전달보다 12.4p↓), 미분양 지수는 62.9(전달보다 3.5p↑)로 조사됐다. 재개발지수 100.0(전월대비 1.1p↑), 재건축지수 101.1(전달보다 4.6p↓), 공공택지지수 124.7(전달보다 1.3p↑)로 나타났다.
주산연 관계자는 "하반기 밀어내기식의 과도한 공급과 고분양가 등이 분양실적에 부담될 수 있다"며 "분양실적지수의 감소로 하반기 주택사업환경지수 하락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