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잦은 우리 아이, 피부 건선 조심해야
장경석 기자
1,324
공유하기
![]() |
강남동약한의원 이기훈 박사는 “감기에 걸린다는 것은 외부의 찬 기운이 인체 내부로 들어와서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다. 우리 몸은 찬 기운이 내부로 들어오면 이를 몰아내고자 하는 면역 기능이 작동하게 된다”며 “찬 기운을 몰아내는 것은 따뜻한 기운이다. 그래서 몸 속의 따뜻한 기운 즉 열(熱)이 찬 기운을 몰아내기 위해 피부로 집결하게 된다. 이렇게 일시적으로 피부에 몰린 열이 감당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면 건선이 나타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감기에 잘 걸린다는 것은 피부는 물론 몸 전체의 면역력이 떨어져 있다는 뜻이다. 만약 피부 면역력이 정상이라면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자극 요인이 있다 하더라도 자체적으로 피부 증상이 나타나지 않게 조절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기훈 박사는 “찬 기운이 쉽게 침입할 정도로 약해진 피부라면 어떠한 피부질환에도 쉽게 노출되기 쉬운 상태”라며 “감기를 앓은 이후에 건선이 발생하는 사람은 건선치료는 물론 약해진 피부 면역력을 올릴 수 있는 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피부 면역력이 떨어져 있다면 단순히 피부 증상만 해결하는 것으로는 지속적으로 건선 증상이 호전과 악화를 반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감기에 걸렸다고 누구나 피부 건선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강남동약한의원 양지은 원장은 “감기에 걸렸을 때 건선이 나타나거나 심해지는 것은 건선이 나타날 소인을 이미 가지고 있던 경우가 대부분으로, 단지 감기가 계기가 되어 건선 증상이 피부로 드러난 것일 뿐”이라며 “다만, 몸 속에 쌓여 있는 건선의 근본 원인 자체가 중요하다 하더라도 감기를 통해 건선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감기도 건선도 가급적 빨리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전문가에 따르면 감기로 건선이 드러나는 경우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볼 때 오히려 전화위복이 될 수도 있다. 건선피부염의 경우 원인이 누적된 기간이 길수록 치료가 어렵거나 치료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양지은 원장은 “감기에 걸린 뒤 건선이 나타나면 이는 오히려 건선을 빨리 치료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이므로 주저하지 말고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며 “특히 감기에 자주 걸리는 사람은 평소 식생활과 수면 등 생활에 유의해 면역력이 지나치게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건선을 미리 예방하고, 재발 확률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사진=강남동약한의원 제공>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장경석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