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옥자 광주시의원 "'광주희망교실' 전면 재검토해야"
광주=홍기철 기자
1,194
공유하기
광주광역시교육청이 핵심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광주 희망교실’사업 예산 집행이 본래의 취지에 크게 벗어나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옥자 광주광역시의원(광산3, 신가·하남·수완·임곡)은 5일 광주시교육청 201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교육 환경이 열악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여건 개선과 학업 의욕 고취를 위해 시작된 희망교실이 여러 가지 문제점들과 함께 본질에서 벗어난 운영을 하고 있어 전면 재검토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옥자 광주광역시의원(광산3, 신가·하남·수완·임곡)은 5일 광주시교육청 201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교육 환경이 열악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여건 개선과 학업 의욕 고취를 위해 시작된 희망교실이 여러 가지 문제점들과 함께 본질에서 벗어난 운영을 하고 있어 전면 재검토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옥자 의원에 따르면 2014년도 희망교실 정산서와 영수증을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희망교실 운영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희망교실의 경우 동아리 실험재료 구입에 전체 예산의 77%를 사용했다. B 희망교실은 예산의 전부를 간식 및 식사로 C 희망교실은 학생들의 의류구입 및 선물 구입으로만 예산의 80%를 사용했다.
이뿐만 아니라 D희망교실은 10월 달에 예산을 교부 받자마자 도서구입으로 1회에 전체예산의 78%를 사용했다. 또한 희망교실 정산서에 담당자, 출납원, 학교장 결재가 누락된 경우도 많아 어떻게 예산을 사용하는지 확인조차 안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뿐만 아니라 D희망교실은 10월 달에 예산을 교부 받자마자 도서구입으로 1회에 전체예산의 78%를 사용했다. 또한 희망교실 정산서에 담당자, 출납원, 학교장 결재가 누락된 경우도 많아 어떻게 예산을 사용하는지 확인조차 안 하고 있는 실정이다.
명세서와 실제 사용한 영수증이 다른 경우도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다른 사례로는 1회 영화관람을 위해서 시내버스 카드 구입과 충전으로 16만원을 지출하거나, 간식비 구입이라고 해놓고 실제로는 옷장형 방향제를 구입하는 사례도 있었다.
지난 2013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이 사업은 교사가 멘토로 나서 교육 소외 학생,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 기타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각종 지원을 통해 보편적 교육복지를 실현한다는 목표로 3년째 운영하고 있다.
광주시교육청은 지원 대상을 학급·학년·동아리형으로 분류해 학급과 동아리형은 교실당 50만원, 학년형은 40만원을 보조해 주고 있다.
지원금은 교재비, 문화·진로체험비, 상담·강사비 등으로 사용토록 하고 있다. 2013년 1607개였던 희망교실이 지난해에는 5098개, 올해는 6171개로 3배 이상 확대됐다.
김옥자 의원은 "정확한 실태파악도 없이 교육감 공약사업이라고 해서 교실수와 예산만 늘리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지적했다.
이어 그는 "희망교실이 무조건 잘되고 있다는 희망적인 이야기만 하지 말고 희망교실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해서 고칠 것인지 아니면 희망교실을 폐지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원금은 교재비, 문화·진로체험비, 상담·강사비 등으로 사용토록 하고 있다. 2013년 1607개였던 희망교실이 지난해에는 5098개, 올해는 6171개로 3배 이상 확대됐다.
김옥자 의원은 "정확한 실태파악도 없이 교육감 공약사업이라고 해서 교실수와 예산만 늘리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지적했다.
이어 그는 "희망교실이 무조건 잘되고 있다는 희망적인 이야기만 하지 말고 희망교실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해서 고칠 것인지 아니면 희망교실을 폐지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광주=홍기철 기자
머니S 호남지사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