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식한 대게, 피부 건선 악화 원인? 건선 치료 위해서는 주의해야
장경석 기자
3,452
공유하기
![]() |
하지만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듯 대게를 과식하면 피부 건선 치료에 해로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강남동약한의원 이기훈 박사는 “건선 환자들 사이에서는 ‘피부 건선에 좋은 음식’과 ‘안 좋은 음식’을 구분해서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한의원에 내원한 건선 환자를 진료하다 보면 의외로 잘못된 정보들이 많다”며 “대게의 경우 기름진 육류와 달리 건선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대게, 꽃게, 새우 등 껍질이 있는 해물은 가려움을 악화시킬 수 있어 건선 환자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건선 피부염은 면역계의 과민반응과 이로 인한 과각질화 현상,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로 인해 나타난다. 이기훈 박사는 “면역계가 비정상적으로 과민한 반응을 보이게 되는 원인은 몸속의 과도한 열(熱) 때문”이라며 “이 ‘과도한 열’이 면역계를 교란시켜 만성적인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피부에 건선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래서 몸 속에 과도한 열을 축적시켜 면역계를 과민 반응하게 만드는 요소들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해로운 음식과 술, 면역력 저하, 만성피로, 스트레스와 화병, 불면증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음식”이라며 “건선 환자들이 특히 조심해야 할 음식으로는 첨가물이 많이 함유된 가공식품, 튀긴 음식,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 기름진 육류 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피부 건선에 해로운 음식을 알게 되면 환자들은 먹을 것이 없다며 낙심한다. 하지만 피부 건선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채식만 하면서 평생 고기를 먹을 수 없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강남동약한의원 양지은 원장에 따르면 지방이 없는 살코기를 적당량 삶아서 먹는 것은 큰 문제가 없으며, 반대로 아무리 몸에 좋은 채소라 하더라도 기름에 튀기는 것은 몸 속에 열을 발생시켜 건선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선한 식재료를 담백하게 조리해 먹는 것이 중요하다.
양지은 원장은 “고등어, 삼치처럼 기름기가 많은 생선을 굽거나 튀기는 것은 건선 피부에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건선 증상이나 가려움이 심하지 않을 때, 적당량을 찜이나 조림으로 먹는 것이 좋다”며 “특히 대게, 새우, 조개, 굴 등 껍질이 있는 해물은 가려움을 더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없던 가려움도 생기게 할 수 있다. 심지어는 두드러기 같은 좁쌀형의 발진이 갑자기 생기는 건선 환자도 있다. 따라서 건선 치료 중에, 특히 건선 증상이 심할 때나 가려움이 심한 동안은 이러한 음식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이기훈 박사는 “어떤 음식을 먹고 나서 피부가 가려워지거나 붉은 발진이 나타난다면 건선 악화의 신호일 수 있으므로 해당 음식을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며 “이처럼 음식에 주의했는데도 증상이 악화되거나 건선피부염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전문 의료기관을 찾아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당부했다.
사진. 강남동약한의원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장경석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