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길 SK이노베이션 부회장. /사진=SK그룹
정철길 SK이노베이션 부회장. /사진=SK그룹
정철길 SK이노베이션 부회장이 장기 저성장인 ‘뉴 노멀’에 대비해 한층 과감하고 선제적인 사업구조 혁신에 나섰다.

특히 올해 안에 전략적 성장 투자를 통해 고부가화학, 배터리 등 주요 사업 분야에서 신규 글로벌 파트너링과 인수합병(M&A)을 성사시키기로 했다.


정 부회장은 20일 서울 종로구 서린동 SK이노베이션 본사 사옥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경영 구상과 전략 방향을 밝혔다.

정 부회장은 “뉴 노멀 시대에는 불황 때 덜 잃고, 호황 때 더 많이 버는 일류 기업만이 살아남게 된다”며 생존을 위한 ‘선제적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저성장 고착화로 전 산업 분야에서 국가 간 업종 간 구조조정이 진행 중이고, 석유화학산업 역시 구조적 변화를 피할 수 없다는 것이 정 부회장의 진단이다.

정 부회장은 이처럼 미래 산업을 둘러싼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것과 관련해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생존 확보 및 미래 선점을 위해 과감하고 선제적인 ‘사업구조 혁신’에 나설 것”임을 강조했다.


정 부회장은 사업구조 혁신의 성공을 위해선 사업 포트폴리오 변화와, 스피드·유연성 제고 등 조직문화 혁신이 근간이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하드 파워’와 ‘소프트 파워’를 동력으로 호황기에 차별적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불황기에 수익을 지키는 경영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구상.

정 부회장은 먼저 사업 포트폴리오 변화의 추진 방향을 ▲고부가제품 ▲비전통자원 ▲ 글로벌 파트너링과 M&A ▲중국과 미국 중심의 사업개발 강화 등 4가지로 제시했다.


먼저 석유사업의 경우, 차별적´구조적 경쟁력 강화를 통해 동북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정유사로서의 입지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화학사업은 ‘중국’과 ‘고부가 제품’ 중심의 투자를 통해 기존 범용제품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조정할 계획이다.

최고급 윤활기유 중심으로 성장해 온 윤활유 사업은 합작 또는 M&A 등을 통해 완제품 윤활유 사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업구조를 조정하기로 했다. 트레이딩 사업은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더욱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석유개발사업은 미국 내 셰일가스 등 비전통자원 자산 신규 인수, 기존 석유개발 사업 확장 등을 통해 독립적인 석유개발 전문회사로 진화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부회장은 “석유개발 사업은 저유가로 전 세계적인 구조조정이 진행 중이어서 기회와 위협이 공존하고 있다”며 “매의 눈으로 기회를 포착해 사업을 성장시킬 것”이라고 의지를 밝혔다.

정 부회장은 이날 SK이노베이션을 2018년까지 기업가치 30조원이 넘는 글로벌 일류 에너지´화학 기업으로 도약시키겠다는 비전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정 부회장은 “그동안 뼈를 깎는 수익구조, 재무구조 혁신을 통해 ‘기초체력’을 확보했다”며 “이제 사업구조를 혁신하고 기업 가치를 키워 글로벌 일류기업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진정한 글로벌 일류 기업은 사업·재무·수익´지배구조 뿐만 아니라 사람·역량·기술·조직·문화·프로세스 등 모든 영역에서 일류여야 한다”며 “전방위적 구조 혁신을 위해 CEO부터 앞장서 뛰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