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진 '맹호 스텐트' 창업
광주=정태관 기자
2,416
공유하기
![]() |
맹호 스텐트는 지난 29일 전남 장성군 나노바이오센터에서 개소식을 갖고 본격적인 스텐트 개발·연구에 돌입했으며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속이다.
현재 한국심혈관계 스텐트 연구소장을 맡은 정명호 교수가 대표이사를, 안영근·홍영준·김주한·심두선 교수와 배인호 연구교수가 공동 이사를 맡아 운영한다.
심혈관계 스텐트는 심혈관 질환으로 좁아진 동맥을 넓혀주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기기다. 국내에서 수입되는 의료기기 및 의약품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번 창업으로 스텐트 국산화에 박차를 가하면서 국내 심장병 환자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덜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20여년 동안 스텐트 국산화에 노력해 온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는 2010년 한국심혈관계 스텐트 연구소와 공장을 설립했다. 지난해 전남대병원 영문 이니셜을 딴 'CNUH스텐트'를 개발하기도 했다.
스텐트 상품명은 무등산 호랑이를 뜻하는 '타이거 스텐트'로 했으며 회사 이름도 순환기내과 조재영 교수의 제안으로 용감한 호랑이라는 뜻의 '맹호 스텐트'로 지었다.
맹호 스텐트는 심혈관계 스텐트 관련 논문 257편, 국내 특허 40건, 국제 특허 7건 등 국내 최고의 연구논문과 지적재산권을 보유했다.
또한 대한심장학회 한국인 급성 심근경색증 등록연구(KAMIR)와 같은 많은 임상연구를 통해 탄탄한 국내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특히 기초연구를 위해 전남공대·순천공대·광주과학기술원(G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한국과학기술원(KAIST)·한국기계연구원 등과도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었다.
아울러 광주국제심장중재술(GICS) 등 국제학회와 임상연구를 통해 미국·유럽·일본·중국·베트남·인도 등과 국제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보스턴에벗…미드트로닉스 등 세계적인 심혈관계 스텐트 회사와 공동연구도 진행 중이다.
이같은 국내외 네트워크를 통해 맹호 스텐트와 한국 심혈관 스텐트 연구소는 세계 최고수준의 연구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정명호 대표이사는 "국내 최고수준의 연구역량과 탄탄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더욱 연구개발에 매진해 세계적 위상을 갖추도록 노력하겠다"면서 "회사의 수익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자와 전남대병원,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쓰겠다"고 말했다.
정명호 대표이사는 "국내 최고수준의 연구역량과 탄탄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더욱 연구개발에 매진해 세계적 위상을 갖추도록 노력하겠다"면서 "회사의 수익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자와 전남대병원,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광주=정태관 기자
머니S 호남지사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