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유료방송 발전방안 연구반 구성, 오는 9일 첫 회의
진현진 기자
1,383
공유하기
미래창조과학부는 유료방송 발전방안 마련을 위해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반을 구성하고 9일 첫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반은 방송, 법제, 경제ㆍ경영, 기술, 소비자 부문 관련 전문가로, 총 12인으로 구성됐다.
미래부 측은 "유료방송시장 내 경쟁심화, 케이블TV의 위축, OTT(Over The Top) 확산 등 미디어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산업 성장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며 "유료방송 균형발전과 전체 시장 규모를 키우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정책방안을 논의하게 됐다"고 연구반 구성 이유를 설명했다.
이에 따라 미래부는 그동안 추진해 온 유료방송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최근의 환경변화를 고려하고 해외 주요 국가의 제도 및 사업자들의 선제적 변화 양상 등을 함께 검토한다. 유료방송의 산업적 측면과 방송으로서의 공익성 측면을 균형 있게 반영하여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는 크게 경쟁환경 개선, 소비자(시청자) 후생제고, 산업적 성장이라는 큰 틀에서 진행된다.
세부적으로 △칸막이식 허가체계에서 비롯된 현행 인허가 구조의 유효성 ▲방송ㆍ통신 융합 과정에서 비롯된 사업자간 구조적 경쟁력 차이 ▲산업의 성장 기반 형성을 저해하는 주요인으로 지적되어 온 수신료 문제 ▲방송의 중요한 규범적 가치인 지역성 구현의 약화 ▲유료방송시청자의 약 7분의 1에 이르는 아날로그 가입자의 시청 복지 개선 ▲적극적인 신규서비스 개발에 장애가 되는 규제 불확실성 해소 등이 주로 논의될 예정이다.
미래부는 연구반을 통해 유료방송 발전방안 초안을 마련한다. 9월∼10월경 토론회 등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거쳐, 연내에 유료방송 발전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반은 방송, 법제, 경제ㆍ경영, 기술, 소비자 부문 관련 전문가로, 총 12인으로 구성됐다.
![]() |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 자료사진=뉴스1 |
미래부 측은 "유료방송시장 내 경쟁심화, 케이블TV의 위축, OTT(Over The Top) 확산 등 미디어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산업 성장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며 "유료방송 균형발전과 전체 시장 규모를 키우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정책방안을 논의하게 됐다"고 연구반 구성 이유를 설명했다.
이에 따라 미래부는 그동안 추진해 온 유료방송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최근의 환경변화를 고려하고 해외 주요 국가의 제도 및 사업자들의 선제적 변화 양상 등을 함께 검토한다. 유료방송의 산업적 측면과 방송으로서의 공익성 측면을 균형 있게 반영하여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는 크게 경쟁환경 개선, 소비자(시청자) 후생제고, 산업적 성장이라는 큰 틀에서 진행된다.
세부적으로 △칸막이식 허가체계에서 비롯된 현행 인허가 구조의 유효성 ▲방송ㆍ통신 융합 과정에서 비롯된 사업자간 구조적 경쟁력 차이 ▲산업의 성장 기반 형성을 저해하는 주요인으로 지적되어 온 수신료 문제 ▲방송의 중요한 규범적 가치인 지역성 구현의 약화 ▲유료방송시청자의 약 7분의 1에 이르는 아날로그 가입자의 시청 복지 개선 ▲적극적인 신규서비스 개발에 장애가 되는 규제 불확실성 해소 등이 주로 논의될 예정이다.
미래부는 연구반을 통해 유료방송 발전방안 초안을 마련한다. 9월∼10월경 토론회 등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거쳐, 연내에 유료방송 발전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