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의 한 사립고가 명문대 진학을 위해 학생생활기록부를 조작한 정황이 경찰 수사로 드러나면서 시교육청이 해당 교장과 교사에 대해 징계 절차에 착수했다.


시교육청은 생기부를 고의 조작한 혐의(공전자기록 위작 등)를 받은 광주 모 사립고 A교장과 B교사 등 2명, 교비 횡령 의혹을 받아온 C교사 등 모두 13명에 대해 징계를 검토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교육청은 경찰 수사를 통해 사실 관계가 어느 정도 드러남에 따라 경찰로부터 수사 자료를 넘겨받아 구체적인 사실을 확인할 예정이다.


검토가 끝나면 징계위원회를 소집, 혐의를 받은 관련자들에 대해 징계 수위를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또 경찰 수사를 통해 해당 학교가 기초학력증진 등을 위해 사용해야 하는 교비 7000만원을 다른 용도로 사용한 것으로 밝혀져 이 부분에 대해서도 환수 조치 등을 검토하고 있다.


횡령사건과 관련 교육청은 교장과 교감, 학년부장 등 3명은 해임토록 해당 학교법인에 통보하고 5명은 경찰에 고발한 상태다. A교장은 의혹이 제기되자 정직 처분했으며 현재 퇴직한 상태다.

교육청 관계자는 "생기부 조작에는 교장과 교사 등 2명이 가담했으며 C교사 등은 학부모로부터 수백만원을 받아 공동경비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검찰의 수사와 재판 결과 등을 토대로 이들에 대해 징계 수위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광주경찰청은 이날 명문대 진학을 위해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2년 동안 생기부를 고의로 조작한 혐의로 광주 한 사립고 교장과 교사 13명을 검찰에 기소의견으로 송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