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 청렴도 최하위권… '3위'→'16위'로 곤두박질
광주광역시교육청이 국민권익위원회의 청렴도 평가 결과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지난해 제주·대구에 이어 3위를 차지했지만 올해 등수는 13계단 하락하며 서울을 제외하면 전국 꼴찌다. 반면 전남도교육청은 현상 유지를 했다.

국민권익위가 7일 발표한 2016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광주시교육청의 종합청렴도는 7.23점으로 17개 시·도 교육청 중 16위를 차지했다. 전남은 종합점수 7.52점으로, 3등급 10위를 기록했다. 광주의 경우 3개 평가 분야 모두 순위가 뒷걸음질쳤다.


외부청렴도는 지난해 2위에서 16위, 내부청렴도는 2위는 10위, 정책고객평가는 8위에서 15위로 밀려났다.

측정대상 업무는 ▲공사 관리·감독 ▲학교급식 운영·관리 ▲현장학습·수학여행·수련회 관리 ▲운동부 운영 등 크게 4가지로 시 교육청은 이 중 현장학습과 운동부 운영 과정에서 부적절한 금품 거래나 학부모 갹출 등이 노출되면서 감점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외부청렴도는 금품·향응이나 특혜, 부당한 사익추구가 있었는지, 업무처리는 투명했는지가 주요 지표고, 내부청렴도는 인사·예산·업무지시가 투명하고 공정했는지, 조직내 부패행위가 관행화됐는지 등을 측정했다.

정책고객평가는 전문가와 업무 관계자, 시민 등을 대상으로 교육행정 전반의 청렴도를 평가했다.


광주는 2010년 7위, 2011년 11위, 2012년 10위, 2013년 12위, 2014년 10위로 5년 연속 두자릿수를 기록하다 지난해 처음으로 한자리 순위에 올랐으나 1년 만에 다시 두자릿수로 돌아섰다.

전남은 2010년 2위를 정점으로 2011년 8위, 2012년 13위까지 추락했다가 이듬해 7위로 다시 올랐으나 2014년 9위, 2015년 10위, 올해 또 다시 10위로 중하위권을 오르 내리고 있다.


한편 이번 조사는 국민권익위가 지난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에 걸쳐 민원인과 소속 직원, 정책 고객 등 23만2401명을 대상으로 전화, 온라인 조사를 병행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외부청렴도는 ±0.04점, 내부청렴도는 ±0.03, 정책고객은 ±0.06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