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가장 비싼 땅으로 조사된 서울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부지. /사진=뉴시스 DB
전국에서 가장 비싼 땅으로 조사된 서울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부지. /사진=뉴시스 DB
전국 평균 개별공시지가 전년 대비 상승한 5.34%로 나타났다. 제주는 19%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관할 시장·군수·구청장이 올 1월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를 산정해 31일 공시한다.

올해 전국 개별공시지가는 지난해(5.08%) 대비 0.26%포인트 올라 5.34%를 기록했다. 개별공시지가는 2010년부터 꾸준히 상승 추세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4.36%,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 7.51%, 시·군 지역이 6.77%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전국 평균(5.34%) 보다 낮은 변동률 보였다. 고양시 덕양·일산등 서북부지역 개발사업지연(재정비 촉진지구) 및 수도권 지역 내 개발사업 부재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광역시 및 시·군지역의 높은 상승률(%)은 제주(19), 부산(9.67), 경북(8.06), 대구(8) 등 일부지역의 개발사업 진행, 토지수요 증가 등 지가상승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시·도별 변동률(%)을 보면, 제주(19), 부산(9.67), 경북(8.06), 대구(8), 세종(7.52) 등 10개 시·도는 전국 평균(5.34)보다 상승폭이 높았다.


제주는 혁신도시의 성숙과 제2공항에 대한 기대감, 부산은 해운대관광리조트 개발과 주택재개발, 세종은 중앙행정기관 이전에 따른 기반시설 확충 및 토지수요 증가 등으로 상승률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인천(2.86), 대전(3.48), 충남(3.70), 경기(3.71), 전북(4.75) 등 7개 시․도는 전국 평균보다 상승폭이 낮았다.


인천은 송도국제도시 개발사업 완료단계에 따른 지가안정(연수구), 아파트 분양시장 침체(동구) 등으로 상승률이 낮았다.

시·군·구별 변동률을 보면 전국 평균(5.34%)보다 높게 상승한 지역은 128곳, 낮게 상승한 지역은 122곳이며, 하락 지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 서귀포시(19.41), 제주시(18.72), 경북 예천군(18.50), 전남 장성군(14.50), 서울 마포구(14.08)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반면 전북 군산시(0.74), 경기고양시 덕양구(1.04), 인천 연수구(1.11), 인천 동구(1.21), 경기고양시 일산서구(1.22) 순으로 상승률이 낮았다.

가격수준별 분포현황(총 3268만 필지)을 보면, ㎡당 1만원 이하는 1112만필지(34%), 1만원 초과 1000만원 이하는 2153만필지(65.9%), 1000만원 초과는 3만 필지(0.1%)로 나타났다.

가격수준별로는 1만원 초과 10만원이하 필지는 전년대비 1.2%포인트 증가해 가장 많이 늘었다. 반면 1만원 이하 필지는 전년대비 1.6%포인트 감소했다.

한편 전국에서 가장 비싼 땅은 서울 중구 명동8길의 화장품 판매점인 ‘네이처리퍼블릭’ 부지(169.3㎡)로 ㎡당 가격은 8600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