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전 광주 북구 옛 광주교도소 북측 담장 인근에서 5·18기념재단 등이 중장비를 동원해 암매장 추정지 유해 발굴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4일 오전 광주 북구 옛 광주교도소 북측 담장 인근에서 5·18기념재단 등이 중장비를 동원해 암매장 추정지 유해 발굴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옛 광주교도소 부지 내 5·18 민주화운동 행방불명자 유해 발굴 작업이 4일 시작됐다. 5‧18 민주화운동이 발발한 후 37년 만이다.

5·18기념재단은 이날 오전 9시30분부터 옛 광주교도소 부지 내 5·18민주화운동 희생자 암매장 추정 장소에서 굴삭기를 동원해 콘크리트와 잡초 제거 작업에 들어갔다. 재단은 오는 5일까지 암매장 추정 장소를 덮고 있는 콘크리트와 잡초 등을 제거하고, 6일 본격적인 발굴 조사에 들어간다.


암매장 발굴 조사가 이뤄질 교도소 북측(담양 방면) 담장 바깥쪽은 1980년 5월 당시 공수부대의 순찰로 인근 땅으로, 일부는 농장으로 사용했고 3공수여단 16대대가 주둔했던 곳이다. 3공수여단 본대대장이었던 김모 소령은 1995년 5월29일 서울지검 조사 당시 이 곳에 "12구의 시신을 부하들과 암매장했다"고 진술한 바 있다.
기념재단은 작업 시작 뒤 15일 정도면 유해 또는 구덩이가 있는지 확인되고, 만약 유해가 있다면 한 달 뒤 눈으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유해 발굴의 주체는 기념재단이 맡고 발굴 조사는 조현종(전 국립광주박물관장)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연구소장이 총괄한다. 유해 흔적이 발견되면 기념재단은 즉시 법무부와 광주지검에 통보하고 검사 또는 법의학관의 참여 아래 '예(禮)'를 다해 유해를 수습한다. 이때부터 발굴 작업은 광주지검의 지휘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