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에 연루돼 재판에 넘겨진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지난 2월1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항소심을 마친 후 소감을 밝히고 있다./사진=뉴스원
'성완종 리스트'에 연루돼 재판에 넘겨진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지난 2월1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항소심을 마친 후 소감을 밝히고 있다./사진=뉴스원

'성완종 리스트' 사건에 연루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에 대한 상고심 선고가 오는 22일 열린다.

18일 대법원에 따르면 대법원 3부(주심 김창석 대법관)는 22일 오후 2시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홍 대표에 대한 상고심 선고를 내릴 예정이다.


홍 대표는 의혹이 불거졌을 당시부터 시종일관 혐의를 부인하고 무죄 입증을 자신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9월 1심에서 유죄가 인정되자 경남도지사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지난 2월 2심에서 무죄가 나온 뒤에도 '성완종리스트'는 꼬리표처럼 홍 대표 뒤를 따라다녔고 대선후보 시절에도 상대 후보들의 공격거리가 됐다. 따라서 한국당은 홍 대표의 상고심 결과에 따라 원동력을 얻거나 혼란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유죄취지 선고 시 한국당 혼란 빠질 듯

대법원에서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할 경우 한국당은 혼란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당은 지난해 총선 패배, '국정농단'으로 인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분당사태를 겪으며 큰 혼란을 야기했다. 


홍 대표는 지난 2월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뒤 '구원투수'로 등판해 대선후보로 나섰고 지난 7월부터는 당 대표를 맡아 당을 재정비하고 혁신작업을 이끌었다.

한국당 원내대표 경선과정에서 '홍 대표 사당화(私黨化)를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올 만큼 홍 대표는 당에 대한 지배력을 높였다. 지난 12일 '친홍'(親홍준표) 김성태 원내대표가 원내사령탑에 올라서며 '홍 대표 체제'는 더욱 강화될 것이란 예상이 나왔다.


이 같은 상황에서 대법원의 유죄취지 선고로 6개월여 만에 홍 대표의 리더십이 흔들릴 경우 한국당 역시 혼란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당장 숨을 죽이고 있는 친박 의원들과 당무감사 결과에 불만을 품은 의원들을 중심으로 홍 대표에 공세를 취하며 당내 갈등의 골이 깊어질 수 있다. 

◆무죄 확정 시 ‘홍 대표 체제’ 강화

반면 대법원이 항소심과 같이 무죄를 선고할 경우 홍 대표는 2015년 4월부터 받아온 '성완종리스트' 연루 의혹을 떨쳐버릴 수 있다.

대법원에서 무죄가 확정되면 홍 대표는 '친박청산' 등 한국당 혁신 마무리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지방선거체제 준비에 돌입하며 '홍 대표 체제'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홍 대표는 본인이 무죄가 확정될 것을 확신하고 있다. 그는 지난 11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내 사건은 법률적 쟁점이 단 하나도 없다"며 "(항소심에서) 성 전 회장 관련 증거가 모두 증거 능력이 있다고 하고 검찰이 제출한 모든 증거를 받아들여도 8가지의 믿을 수 없는 사유를 들어 내가 돈을 받지 않았다고 판단했다"고 강조했다.

사실심(사실 관계를 따지는 심리)이 아닌 법률심(11,2심의 판결이 법률에 위반했는지 여부를 따지는 심리)인 대법원에서 '이변'이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