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준생 35%, "어학능력시험 비용 제일 아까워"
강인귀 기자
2,678
공유하기
취업준비생들이 취업준비 비용 중 가장 아까워하는 비용은 ‘어학능력시험 비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몬과 함께 1월10일부터 14일까지 취업준비생 1459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에 따르면 취업준비를 위해 사용하는 월 평균 비용은 27만2302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6년 조사 당시 22만8183원에 비해 19.3%, 지난해 24만 713원 보다는 13.1% 증가한 수준이다.
취준생의 10명 중 7명 이상은 취업준비에 드는 비용의 대부분을 아르바이트(75.1%)로 충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님께 지원받아 쓴다는 취준생도 46.4%를 차지했다. (*복수응답)
취준생들이 취업 과정에서 쓴 비용 중 가장 아깝다고 느끼는 항목은(*복수응답) ▲어학능력시험에 사용한 비용(35.9%)이었다. 이어 ▲면접에 드는 교통비(29.5%)와 ▲면접 의상 구입 비용(20.4%) ▲커피. 음료 값 등 취업스터디 하며 드는 비용(19.5%) ▲이력서 사진촬영 비용(17.0%) 등도 취업준비 할 때 써야 하는 아까운 비용으로 꼽혔다.
이 외에도 ▲인적성검사 등 취업준비 도서 구입 비용(13.2%) ▲졸업유예 및 추가 수강을 위해 드는 비용(11.8%) ▲전공 관련 자격증 취득 비용(10.5%) ▲자소서 첨삭 컨설팅 비용(10.4%) 등의 순이었다.
취준생들이 취업 준비에 드는 돈이 아깝다고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지갑 사정이 넉넉하지 않아서(51.1%)’란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취업 준비에 드는 비용 자체가 ‘너무 비싸다(22.1%)’는 의견도 많았다. 이어 비용을 들여 준비한 것들이 ‘크게 취업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 않아서’(14.7%)와 ‘취업을 원하는 분야/직무와의 연관성을 찾지 못해서(9.6%)’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취준생들이 돈이 아깝다고 생각하면서도 취업준비에 돈을 들이는 이유는(*복수응답) ‘원하는 곳에 취업하려면 꼭 필요해서’(39.5%), ‘취업준비를 하지 않으면 불안해서’(35.2%),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27.5%), ‘남들 다 하니까’(21.2%) 순으로 조사됐다.
![]() |
/사진=잡코리아 |
이에 따르면 취업준비를 위해 사용하는 월 평균 비용은 27만2302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6년 조사 당시 22만8183원에 비해 19.3%, 지난해 24만 713원 보다는 13.1% 증가한 수준이다.
취준생의 10명 중 7명 이상은 취업준비에 드는 비용의 대부분을 아르바이트(75.1%)로 충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님께 지원받아 쓴다는 취준생도 46.4%를 차지했다. (*복수응답)
취준생들이 취업 과정에서 쓴 비용 중 가장 아깝다고 느끼는 항목은(*복수응답) ▲어학능력시험에 사용한 비용(35.9%)이었다. 이어 ▲면접에 드는 교통비(29.5%)와 ▲면접 의상 구입 비용(20.4%) ▲커피. 음료 값 등 취업스터디 하며 드는 비용(19.5%) ▲이력서 사진촬영 비용(17.0%) 등도 취업준비 할 때 써야 하는 아까운 비용으로 꼽혔다.
이 외에도 ▲인적성검사 등 취업준비 도서 구입 비용(13.2%) ▲졸업유예 및 추가 수강을 위해 드는 비용(11.8%) ▲전공 관련 자격증 취득 비용(10.5%) ▲자소서 첨삭 컨설팅 비용(10.4%) 등의 순이었다.
취준생들이 취업 준비에 드는 돈이 아깝다고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지갑 사정이 넉넉하지 않아서(51.1%)’란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취업 준비에 드는 비용 자체가 ‘너무 비싸다(22.1%)’는 의견도 많았다. 이어 비용을 들여 준비한 것들이 ‘크게 취업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 않아서’(14.7%)와 ‘취업을 원하는 분야/직무와의 연관성을 찾지 못해서(9.6%)’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취준생들이 돈이 아깝다고 생각하면서도 취업준비에 돈을 들이는 이유는(*복수응답) ‘원하는 곳에 취업하려면 꼭 필요해서’(39.5%), ‘취업준비를 하지 않으면 불안해서’(35.2%),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27.5%), ‘남들 다 하니까’(21.2%) 순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