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생 근무 중 행복도 평균 6.1점…방송이 가장 높아
강인귀 기자
2,588
공유하기
우리나라 아르바이트생이 평가한 근무 중 행복도 점수는 평균 6.09점으로 조사됐다.
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지난 3월 15일부터 3월 22일까지 현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전국 회원 681을 대상으로 ‘아르바이트 중 행복한 순간은?’’를 주제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 결과 전체 응답자 중 73.2%가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즐거움, 행복함을 “매 순간 느낀다(5.8%)”, “때때로 느낀다(67.4%)”고 답했다. “거의 느끼지 못한다”, “전혀 느끼지 못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각각 22.2%, 4.6%이었다.
아르바이트 중 행복도 점수는 평균 6.09점 이었으며, 업종별로는 ▲방송 (방청, 보조출연, 스텝 등)이 8.25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강사·교육 (학원, 과외, 예체능 등) 7.34점 ▲배달 (치킨, 피자, 배달어플 포함) 7.25점 ▲사무 (일반 회사 보조, 문서작성 등) 6.35점, ▲게임 관련 (PC방, 오락실, 멀티방, 인형뽑기 등) 6.33점 ▲편의점 6.26점 ▲패스트푸드 6.16점 ▲기타 5.95점 ▲식당(서빙, 주방 등) 5.91점 ▲카페(커피숍, 베이커리) 5.87점 ▲서비스 (호텔/ 뷔페 단기, 주차, 전단지 등) 5.72점 ▲주점 (호프집, 노래방, 바 등) 5.54점 순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아르바이트생들이 뽑은 알바 중 가장 행복한 순간은 “월급을 받을 때(41.8%)”와 “손님이 먼저 인사해주거나 인사에 답해줄 때(13.9%)”였다.
또 “기타(11.1%)”, “손님이 칭찬해 줄 때(10.3%)”, “사장님에게 기분 좋은 말을 들었을 때(7.9%)”, “자리를 깨끗이 치워주는 손님을 볼 때(6.7%)”, “손님이 나를 기억해 줄 때(5.5%)”, “퇴근 후 동료들과 함께하는 식사 자리(2.8%)”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반면 아르바이트 중 행복함을 느끼지 못하는 이들에게 그 이유를 물었더니, “일에 치여 즐거움을 느낄 시간이 없다(41.8%)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기타 답변으로는 “알바 중 너무 피곤해서(19.8%)”, “진상 손님 때문에(14.8%)”, “그냥 재미있는 일이 없어서(12.1%)”, “기타(7.7%)”, “딱히 이유가 없다(3.8%)” 등이 있었다.
![]() |
/사진=알바천국 |
설문 결과 전체 응답자 중 73.2%가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즐거움, 행복함을 “매 순간 느낀다(5.8%)”, “때때로 느낀다(67.4%)”고 답했다. “거의 느끼지 못한다”, “전혀 느끼지 못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각각 22.2%, 4.6%이었다.
아르바이트 중 행복도 점수는 평균 6.09점 이었으며, 업종별로는 ▲방송 (방청, 보조출연, 스텝 등)이 8.25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강사·교육 (학원, 과외, 예체능 등) 7.34점 ▲배달 (치킨, 피자, 배달어플 포함) 7.25점 ▲사무 (일반 회사 보조, 문서작성 등) 6.35점, ▲게임 관련 (PC방, 오락실, 멀티방, 인형뽑기 등) 6.33점 ▲편의점 6.26점 ▲패스트푸드 6.16점 ▲기타 5.95점 ▲식당(서빙, 주방 등) 5.91점 ▲카페(커피숍, 베이커리) 5.87점 ▲서비스 (호텔/ 뷔페 단기, 주차, 전단지 등) 5.72점 ▲주점 (호프집, 노래방, 바 등) 5.54점 순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아르바이트생들이 뽑은 알바 중 가장 행복한 순간은 “월급을 받을 때(41.8%)”와 “손님이 먼저 인사해주거나 인사에 답해줄 때(13.9%)”였다.
또 “기타(11.1%)”, “손님이 칭찬해 줄 때(10.3%)”, “사장님에게 기분 좋은 말을 들었을 때(7.9%)”, “자리를 깨끗이 치워주는 손님을 볼 때(6.7%)”, “손님이 나를 기억해 줄 때(5.5%)”, “퇴근 후 동료들과 함께하는 식사 자리(2.8%)”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반면 아르바이트 중 행복함을 느끼지 못하는 이들에게 그 이유를 물었더니, “일에 치여 즐거움을 느낄 시간이 없다(41.8%)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기타 답변으로는 “알바 중 너무 피곤해서(19.8%)”, “진상 손님 때문에(14.8%)”, “그냥 재미있는 일이 없어서(12.1%)”, “기타(7.7%)”, “딱히 이유가 없다(3.8%)” 등이 있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