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영 작가, '전주시는 봉침의 베이스캠프'…공개토론 제안
강영신 기자
1,834
공유하기
![]() |
일명 ‘봉침사건’으로 전주시로부터 피소를 당한 공지영 작가가 3일 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했다. /사진=뉴시스 |
일명 ‘전주 봉침사건’으로 전주시 공무원으로부터 고발당한 공 작가가 3일 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전주시는 자격 없는 시설과 사람에게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었다. 이 시설에 대한 전주시청의 비호 의혹은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 작가는 “한 장애인센터가 모금한 수억원의 자금을 쫓다보니 이곳 전주까지 오게 됐다. 그 중심에는 A센터가 있었고 이 센터의 설립 요건이 허위임을 알았다”고 설명한 후 “문제는 이 시설의 문제점을 2016년 4월 김승수 전주시장에게 설명했지만 전주시는 시설을 폐쇄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지원 예산을 증액했다”고 말했다.
이어 “허위 사실을 안 전주시는 1년 반 동안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았고 김 시장 당선 이후에는 2500만원이던 지원금이 4배 가까이 증액했다”면서 “전주시와 해당 기관의 유착관계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문제제기 배경을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검찰이 해당 기관 압수수색 후 전주시에 시설폐쇄 관련 공문을 발송했지만 폐쇄되지 않았고 지원이 계속 이뤄졌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김승수 전주시장을 직접 겨냥하는 발언도 했다. 그는 “김승수 시장에게 공식 질의한다. 솔직해지자. 저하고 공개토론을 하자”며 “누가 전주시의 명예를 훼손했는지 밝히자”고 제안했다. 또 “지금도 '밤길을 조심하라'는 식의 테러 협박을 받고 있다. 이젠 지쳤다. 이상한 문제에 대해 시민으로서 문제를 제기했다. 수사기관에서도 조사해 달라”고 강력히 요청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는 “경력증명서 위조와 시설장 경력부족 부분에 대해 정상적인 행정절차를 밟아 조치를 취했다”며 공 작가의 주장은 허구라고 말했다.
시는 또 김 시장 이후 예산이 증액됐다고 주장한 부분에 대해 “모든 사안은 보건복지부 지침을 따라 진행했으며 특히 2014년 국비 지원에서 지방비 지원으로 전환해 보조금 지원이 늘었다”며 “최초 3일 만에 신고시설로 등록된 부분은 이미 서류가 구비된 상태에서 민원 사무처리가 이뤄졌다”고 반박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