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준 포스코 회장. /사진=뉴시스
권오준 포스코 회장. /사진=뉴시스

포스코가 17일 임시의사회를 개최하고 권오준 회장의 거취여부를 논의 중이다. 업계에서는 권 회장 역시 정권교체와 함께 바뀐 포스코 회장의 운명을 거스르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1위 철강업체인 포스코는 유독 정치권 외풍에 흔들려온 회사다. 민영화된 옛 공기업의 특성상 주인이 없다 보니 정치권의 입김에 취약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같은 역사는 1968년 포항종합제철을 창립해 초대 사장으로 취임한 뒤 1992년까지 약 25년간 회장직을 역임한 고(故) 박태준 명예회장의 사임으로 시작됐다. 김영삼 전 대통령 당선 직후 정부는 포스코에 대한 고강도 세무조사와 검찰 수사를 단행했고 박 명예회장은 사임 후 일본으로 망명했다.


포스코는 2000년 10월 4일 마지막 정부 지분을 자사주로 매입하면서 완전 민영화됐지만 정치권의 입김에 따라 회장이 바뀌어왔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에서 세 번의 교체가 있었고 5대 포스코 회장이었던 유상부 회장이 2002년 이른바 ‘최규선 비리’에 연루돼 불구속 기소됐다.

2003년 취임한 이구택 전 회장은 이명박 정권이 집권한 이후 임기를 약 1년2개월 남기고 물러났다. 세무조사를 무마하기 위해 이주성 전 국세청장에게 로비를 했다는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은 직후였다.


이후 2009년 2월 취임한 정준양 전 회장은 이명박 정부 이명박 정부 출범 후 1년 뒤에 회장직에 올라 박근혜 정부 출범 후 물러났다. 정 전회장과 회장자리를 놓고 경쟁했던 윤석만 당시 포스코 사장은 정 전회장의 선임 당시부터 정치권의 외압이 작용했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정 전 회장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후 비자금 사건에 연루됐고 8개월여만에 사의를 표명했다.

권오준 회장은 정 전 회장의 후임으로 취임한 인물이다. 박근혜 정부의 인사로 ‘비선 실세’ 최순실 씨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의혹이 따라다녔다. 권 회장이 역대 포스코 회장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사임할 것이라는 예측은 문재인정부가 들어선 뒤 끊임없이 제기돼왔다. 권 회장은 현 정부 출범 후 지금까지 대통령의 외국 방문에 한 차례도 동행하지 못했다.


포스코 수장이 정권에 따라 교체되는 이유는 주인이 없는 회사이기 때문이다. 포스코의 최대주주는 지분 10.79%를 가진 국민연금공단이다. 소액주주가 대부분이며 외국인 지분율이 전날 기준 57%에 달한다.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주주가 없다보니 정치권의 외풍이 강력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다.